미라 이야기 파랑새 클래식 이삭줍기주니어 2
테오필 고티에 지음, 김주경 옮김, 송수정 그림 / 주니어파랑새(파랑새어린이) / 2006년 7월
평점 :
절판


화려한 표지에 단단한 제본까지 청소년용으로 나온 책으로서 꽤 고급스럽다. 요는 우리의 주니어들이 이런 책을 구입 또는 대출해서 볼 것인지에 대한 기대감인데, 이는 분명 부정적이다. 수험 공부의 압박에 시달리는 그들에게 꼭 필요하지도 않은 고대 이집트의 미라를 다룬 소설 작품이라니...

진작 테오필 고티에의 ‘죽은 여인의 사랑’을 읽은 후 그의 대표작인 <모팽 양>을 나아가는 여정의 기항지로 이 작품을 골랐다. 솔직히 시덥잖은 미라와 스핑크스, 파라오 등의 이야기는 성에 차지 않을게 분명하다. IT 혁신의 한복판을 살아가는 우리들은 과거의 신비를 머릿속의 정다운 공상으로 담기에는 너무 이성적이다. 그나마의 상상력도 이미 영화 ‘미이라’를 필두로 한 SF 영화의 압도적 인상으로 메말라버렸다.

그럼에도 이 책을 펼쳐드는 내 심경은 오로지 작가 고티에의 글을 읽어 본다는 일말의 의무감에 기인한다. 국내에 출간된 몇 안 되는 그의 작품 중 하나를 부러 빼먹기는 싫다는 일종의 자위수단.

고티에는 소위 ‘예술을 위한 예술’의 주창자로 유명하다. 문학 작품은 순수한 예술을 반영해야지 작가의 도덕, 철학, 사상, 주장 등을 담아서는 안 된다고 한다. 순수한 예술, 그것은 언어적 표현의 아름다움을 말하는 게 아닐까? 즉 화려하고 다채로운 수사, 형식적 구성미 등 문학의 고유미를 추구한다고 할 수 있다.

이 <미라 이야기>는 액자소설 방식이다. 도굴되지 않은 이집트 무덤을 발굴하기까지의 모험이 1부를, 미라와 함께 수장된 파피루스 기록물이 2부를 이루며, 그 중에서도 타오제르의 사랑 이야기인 2부가 핵심이 된다.

고티에의 예술론은 책 전반부에 충실히 반영되어 있다. 문학 작품의 탁월성을 사물 묘사로 매길 수 있다면 단연 최상위권에 속할 것이다. 작가의 눈에 비치는 모든 사물의 철저한 세부 묘사, 사진이 없는 시기에 그림으로 생생하게 묘사하듯 글로써 그림을 대신하려는 작가의 노력이 가상하다. 다만 독자의 입장에서는 지루하기 짝이 없음이 문제다. 소설 또는 희곡을 3단계 내지 5단계 전개로 구분하는 것은 그만큼 작품의 내적 흐름의 방향과 속도를 인정함에 있다. 그런데 고티에는 이를 철저히 외면한다. 단순한 묘사의 나열로 작품을 이끌어간다. 작품은 강의 흐름이 아니라 호수의 반짝이는 수면에 가깝다.

다행이 타오제르의 포에리에 대한 짝사랑, 파라오의 타오제르에 대한 집착, 그리고 포에리와 라헬의 사랑이 어긋나고 모세가 등장하여 출애굽기와 연결되며 작품은 묘사를 던지고 솟구치는 서사의 힘을 받아들인다. 비로소 읽는 재미가 느껴진다.

이 작품을 쓴 이후에야 고티에는 이집트를 방문했다고 하며, 그때도 배경인 테베는 가보지 못했다고 한다. 이를 어찌 받아들여야 할까. 순전한 상상력의 빼어난 발로인지 아니면 작가적 체험이 없는 탓에 참고자료에만 의지하여 어설프게 그려낸 불완전한 작품인지. 판단은 읽는 이의 몫이지만, 이 책만으로 테오필 고티에의 작가적 역량을 섣불리 예단하고 싶지는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