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09389153494523.jpg)
참 뜻깊은 음반이다. 내가 제일 처음으로 구입한 발레 음악이자 <백조의 호수> 음반이다. 당시 서울음반에서 내놓은 라이센스 LP 음반이었는데, 아직 CD로는 국내에 나오지 않은 듯하다. 매우 아쉽다. 이렇게 탁월한 연주가 묻히다니.
주연 여자무용수가 전면에 나와 양팔을 벌리고 그 뒤를 남자무용수가 받쳐 주는 아름다운 음반 재킷은 고전 발레에 대한 나의 환상을 한껏 충족시켜 주었으며 선곡과 연주 또한 뛰어나서 참 많이도 듣고는 하였다.
모든 발레 음악과 마찬가지로 <백조의 호수> 연주는 발레 음악으로 연주할 것인가 아니면 귀에 쏙쏙 감기는 아름다운 관현악곡으로 접근할 것인가하는 분기점이 존재한다. 작품의 인지도에 비해 발레 지휘와 감상 경험을 갖기란 실제로 어렵기 마련이므로 대개의 지휘자와 청자는 관현악 작품으로 받아들인다. 확실히 이 편이 해석의 제약을 벗고 템포와 극성의 자재한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정통 발레 스타일의 연주는 작품의 진면모를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소중하며, 더욱이 여기에 연주마저 뛰어나다면 금상첨화다. 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연주자가 바로 알기스 주라이티스와 볼쇼이 오케스트라다. 이들의 <백조의 호수>는 요약하면 서정과 극성을 절묘한 융합이다. 연주와 녹음이 환상의 조화를 이룬 소위 명반의 필요충분조건을 지닌 셈이다.
이들의 대단함은 1막 왈츠의 피치카토 개시부만 들어도 쉽사리 알아차릴 수 있다. 이어지는 바리에씨옹과 코다를 통해 우아하고 세련되며 역동적인 매력에 흠뻑 취할 수밖에 없다. 아, 이게 바로 정통 고전 발레이구나. 1막 정경의 클라이막스에서 한껏 기대하였던 팀파니(큰북?)의 쿵 쿵 하는 타격감이 부재하여 처음에 실망하였던 기억이 떠오른다. 순전한 관현악곡 해석의 연주에 길들여진 탓임을 나중에 알게 되었지만.
가장 압권은 역시 '파 드 되' 부분이다. 독주 바이올린의 섬세하면서도 애잔한 선율은 다른 연주에서는 결코 느껴보지 못하였다. 한껏 물기를 머금은 소리는 다소 느린 템포로 청자의 가슴을 후벼파는데 왜 이리 짧게 느껴지는, 그냥 이대로 한없이 지속되었으면 하는 아쉬움을 들을 때마다 남긴다. 연주자의 숨소리가 배어나오는 게 이채로우면서 거슬림이 없다.
2막에서 스페인 춤, 나폴리 춤 등의 장면에서는 너무나 흥겨운 나머지 콧노래가 나오며 무릎을 들썩들썩, 고개를 까딱까딱하지 않을 수 없다. 이 장면에서 무심한 사람의 감수성에는 절대 동의하지 못한다.
1983년 당시, 멜로디야와 일본 빅터의 협력으로 만든 이 연주가 완전한 전곡판으로 다시 출반되기를 바라마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