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 이야기
폴린 레아주 지음, 성귀수 옮김 / 문학세계사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54년 발표된 화제작이자 문제작이다. 당시로서는 상당한 충격을 주었을 작품인데, 어찌 보면 당대의 시각에서 오늘날의 야설로 여겨졌을 것이다. 야설과의 차이점은 성적 행위에 적나라한 직접 묘사가 덜하다는 점과, 심리묘사의 비중이 매우 높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특히 성기를 지칭하는 묘사가 중립적이거나 완곡하다는 점이 더욱 그러하다.

 

현대 에로티시즘 문학의 걸작으로 간주되는 <O 이야기>의 주된 성적 행위는 사도-마조히즘이 차지한다. O는 애인 르네를 따라 루아시로 들어가고 그 일원이 되며, 스티븐 경에게 양도된다. 루아시와 스티븐 경이 주창하는 성적 판타지는 무조건적 강간, 채찍질로 대표되는 고문, 항문 성교 등이다. O는 여기에 절대적으로 복종해야 하며, 오히려 쾌감을 느낀다. 또한 O와 자클린 간 여성 동성애도 무시할 수 없는 요소다.

 

이 작품에서 소개되고 묘사되는 여러 성적 행위의 실제성을 절대적으로 부정할 수는 없겠지만, 저자 자신의 의견처럼 연인에게 보내는 연애 편지’”로 이해하는 게 온당하다. 현실 세계에서 이를 실현하는 것은 당대나 현대 모두 쉽지 않은 일이며 현실 법의 테두리를 벗어날 개연성도 충분하다. 사랑하는 남성에게 자신을 온전히 바치고 싶어 하는 한 여성의 성적 환상이라면 그 무엇을 꿈꾸어도 비난할 수는 없는 법이다. 따라서 페미니즘 관점에서 이 작품을 가타부타하는 건 실체 없는 허상에 대한 논평이라 생각한다.

 

무수한 음란물에 노출되고 있는 현대인의 시각에서 볼 때 이 소설의 내용은 그다지 충격적이지 않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성적 묘사보다는 성 심리 자체가 더욱 흥미롭다. O는 자신을 대상으로 하는 가학적 행동에 관대하며 오히려 감미로움과 흐뭇함을 느낀다. 전형적인 피학적 속성이다.

 

지금처럼 철저하게 자신을 벗어난 의지에 내맡겨진 적이 없었고, 지금보다 완벽한 노예상태에 빠진 적도 없었을 뿐더러, 그렇게 된 것 자체를 지금만큼 행복하게 받아들인 적 또한 없었다. (P.84)

 

아무리 능욕을 당한다지만, 아니 오히려 능욕을 당하고 있기에, 바로 그 능욕을 통해 존재가치를 인정받는 데서 오는 일종의 감미로움이 있는 게 아닐까? 스스로 굴복을 자처하기에 느끼는 기쁨, 자신을 순순히 개방함으로써 얻는 즐거움 같은 것 말이다. (P.114)

 

소설 속에서 되풀이하여 표현되는 O의 피학적 성향은 그녀가 단지 독특한 성적 취향을 지녔음을 뜻하지는 않는다. O는 애인 르네를 극도로 사랑한다. 사랑의 정도가 매우 깊기에 그녀는 르네가 원하는 것은 무조건 따르고 순종하려고 한다. 그녀에겐 고통보다 복종의 행복이 더 큰 것이다. 스티븐 경에게 양도되었을 때도 마찬가지다. 르네가 원하기에 O는 이를 따랐을 뿐이었고, 나중에는 스티븐 경에게서 더욱 철저한 주인-노예 관계를 터득하였다.

 

O는 죽고 싶지 않았지만, 애인의 사랑을 계속 이어가기 위해 치러야 할 고통이라면, 그 고통을 감수하는 자신을 애인이 그저 흐뭇하게 여겨주기만을 바랐다. 오로지 그의 곁으로 데려다 주기만을 말없이 얌전하게 기다릴 뿐이었다. (P.41)

 

르네, 당신을 사랑해, 당신을 사랑한다고...... 당신을 사랑해...... 나를 가지고 얼마든지 당신 원하는 대로 해도 좋아...... 다만, 나를 버리진 말아줘, 제발 부탁이야, 나를 버리지 마......” (P.133)

 

작가는 성적 노예화에 빠지는 O의 모습을 뜻밖에도 장엄하게 묘사한다. 그녀는 성적으로 부도덕하고 타락한 게 아니다. 그녀는 자기 헌신과 복종을 통해 오히려 정신적으로 승화되는 것처럼 비친다. 고대 신전의 무녀와 여사제가 그러한 역할을 맡았던 것처럼 말이다. 자아를 전적으로 바치면 순전한 이타가 되고 영혼은 순결해진다고 보는 것일까. 작가의 펜에서 O는 성녀(聖女)로 화한다.

 

몸을 함부로 내돌림으로써 존엄해진다는 것은 분명 놀랄 현상이나, 거기 존엄한 무언가가 있는 건 사실이었다. 그녀는 자신의 내부로부터 어떤 광채를 일으켜 빛나는 듯했다. 모든 거동에서 침착함이 배어났고, 얼굴에서 알 수 없는 고요함과 더불어 은자들의 눈빛에서나 떠오를 법한 내면의 미소가 은은하게 번지는 것이었다. (P.66)

 

사실 그녀의 입을 범했던 모든 입들, 젖가슴과 음부를 유린했던 모든 손들, 아랫도리를 쑤시면서 그 창녀성을 여지없이 증명해 주었던 모든 성기들은 어떤 의미에서 그녀를 신성한 존재로 만들어준 것이나 다름없다. 하지만 그것도 르네가 보기에 스티븐 경이 증명해 준 것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다. O가 스티븐 경의 품을 벗어나올 때마다 르네는 그녀에게서 신의 흔적을 찾았다. (P.157)

 

우리는 새로 얻은 링과 인두자국이 말할 수 없이 자랑스러운”(P.238) O의 심리에 대부분 공감하지 못한다. 그토록 피학적인 O가 도리어 자클린과의 관계에서는 주도적 역할을 맡는 것 자체로 보아서도 O의 성향을 일면 화하기 어렵다. 차라리 적당히 이성애와 동성애를 넘나들며 쾌락을 즐기되, 소위 변태적 성적 행위에는 거리를 두려 하는 자클린의 태도가 일반인의 정서에는 더 가깝다.

 

이 소설을 지나치게 진지하게 받아들일 필요는 없다고 본다. 적당히 잘 쓴 야설이라도 결국 야설일 뿐이며, 누군가의 판타지를 반영한 글에 불과하다. 현실과 환상은 다르다. 엄격한 종교 윤리 기준으로 보면 성적 환상도 죄악에 속하지만, 그렇다면 대부분 현대인은 모두 죄인일 것이다. 요즘 추세는 오히려 감추기 보다는 자연스러운 발로를 권장하고 있으므로 읽지 않으면 몰라도 읽는다면 예전의 야설은 이렇구나 하고 가벼운 흥미로 넘어가면 족하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