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이대왕 ㅣ 사계절 1318 문고 7
크리스티네 뇌스트링거 지음, 유혜자 옮김 / 사계절 / 2009년 2월
평점 :
1972년에 원작이 발표되고, 1997년에 번역본이 출간된 이 작품이 청소년 문학 시장에서 상당한 인기를 모은 까닭은 무엇보다 시대적 상황으로 파악할 수 있다. 민주화 투쟁 이후 독재체제가 서서히 무너지고 자유언론이 가능해진 때 이 소설이 지향하는 독재주의 청산 및 소통의 강조는 당시 시대적 요구에 정확히 부합하였다.
이 책에서 독재자는 누구인가? 볼프강네 가족에서는 아빠이며, 쿠미-오리 사회에서는 오이대왕이다. 독재자의 공통적 속성은 자신이 절대적으로 올바르며 나머지 구성원은 무지하다는 인식이다. 따라서 자신의 말에 거역하는 걸 견뎌내지 못하며 타인에 대한 인격적 존중을 하지 않는다.
우리들 가운데 아빠의 명령을 따르는 사람이 한 사람도 없는 것은 처음 있는 일이었다. 우리들 스스로도 몹시 놀랐고 아빠는 우리보다 더 경악했다. 아빠가 다시 한 번 위협적으로 물었다. 하지만 소용 없었다. (P.37)
볼프강네 가족을 먼저 보자. 평범하고 단란한 가정으로 여겨졌으나 오이대왕이 등장하면서 내재한 모순과 균열이 두드러지기 시작한다. 볼프강네 가족은 매사에 아빠의 승인과 허락이 있어야 수영장, 극장, 친구 집에 놀러 가는 게 가능하다. 아빠가 원하는 것만 먹거나 입고 TV를 볼 수 있고 하물며 허락해야만 웃는다. 아무리 어머니가 정상적인 가족이라고 주장해 봤자 할아버지의 의견대로 비정상적인 가정임이 백일하에 드러나게 된다. 작품 내에서 아빠가 마르티나의 과외 건을 일방적으로 결정하고 명령하는 사례가 전형적인 경우로 예시된다.
“쿠미-오리들이 대왕이 없으면 왜 아무것도 할 수 없지?”
할아버지가 말했다.
“무지하고 어리석어서 무엇을 해야 할지 말해 줄 이가 꼭 필요하기 때문이지.” (P.25)
오이대왕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오이대왕은 자기의 존재가 없다면 쿠미-오리 사회의 만사가 엉망이 될 거라는 확신을 품고 있다. 볼프강이 쿠미-오리들을 만나면서 그의 독재자로서의 그의 실체가 드러나며, 볼프강 아빠의 도움을 받아 쿠미-오리사회를 물바다로 만들려는 복수 계획에서 오이대왕의 잔인성을 발견할 수 있다.
오이대왕과 볼프강의 아빠는 모두 독재자로서 공통분모를 지니므로 양자가 소위 죽이 잘 맞는 게 전혀 이상하지 않다. 볼프강의 아빠가 오이대왕에게 동정심을 품는 건 그에게서 자신의 일부를 보았기 때문이었으리라. 볼프강네 가족들이 오이대왕과 아빠를 유사하게 여기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우리에게는 오이대왕과 아버지의 차이가 뚜렷하게 구별되지 않았다. 어머니도 우리와 거의 비슷한 생각을 하고 있는 모양이었다. (P.81)
볼프강네 가족에게서 벌어진 해괴한 사건과 함께 이 작품의 다른 한 축을 형성하는 것이 볼프강과 하슬링거 선생님과의 갈등이다. 볼프강은 하슬링거 선생님이 유독 자신에게 매정하고 각박하게 구는 게 그를 놀려댔던 과거사의 잔상이라고 생각한다. 두 사람의 관계는 자칫 악화일로를 향해 가지만 모든 갈등이 해소되는 의외의 결과로 귀결된다. 하슬링거 선생님의 교육적 지도에 대한 오해가 양자 간의 우연한 소통으로 비로소 풀렸기 때문이다.
‘선생님은 내가 어디에 사는지도 모르고 있잖아! 내가 누구인지도 알아보지 못했어. 하슬링거 선생님은 내게 교사로서의 당연한 노여움만 느끼고 계셨던 거야.’ (P.158)
볼프강네 가족에 닥친 오이대왕 사건의 경우도 갈등이 봉합되고 해결되는 외양을 띤다. 아빠는 자신이 오이대왕에게 속았음을 알게 되고, 오이대왕은 유모차에 실려 집에서 내쫓김을 당하는 처지가 되고 만다. 하지만 이것이 만족스러운 해법이 아님을 독자는 본능적으로 느낀다.
오이대왕이 등장하여 가족의 화합이 위기에 처하게 된 것이 아니다. 가족의 위기는 그 이전에 내재하고 있었으며 오이대왕이 표출의 계기가 되었을 뿐이다. 오이대왕은 퇴출당하였지만 아빠의 전제적 성향이 사라졌다고 볼 수는 없다. 오이대왕 사건으로 아빠의 권위는 많이 실추되었고 가족들의 자유를 요구하는 성향이 강화되었음은 사실이다. 볼프강네 가족의 위기는 아빠와 나머지 구성원 간 사고와 소통의 단절에서 비롯되었다.
누나는 그 모든 것이 어린아이도 나름대로의 생각이 있고 독립적인 하나의 인격체라는 것을 아버지가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생긴 문제라고 했다. 아버지가 그런 생각을 받아들이지 못한다는 것이었다. (P.101)
아빠가 자신의 독선적 성향을 극복하고 구성원들의 의사를 존중하는 민주적 방식으로 가정을 꾸려나가는 노력을 하지 않는다면 가족의 위기는 상존할 것이며 제2, 제3의 오이대왕이 볼프강네 집안에 들어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