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칸의 전설 대산세계문학총서 49
요르단 욥코프 지음, 신윤곤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06년 9월
평점 :
품절


매우 생소한 작가의 작품이지만, 작품 해설에 따르면 불가리아의 성서라고 일컬어진다. 모두 10편으로 이루어진 단편집인데, 작가가 각 편의 배치 순서까지 지정할 정도로 전체로서의 유기적 구성 효과를 의도하고 있다. 수록된 단편들은 불가리아 민간전승에 기원을 둔 제재에서 출발하고 있으므로 작가도 표제를 당당히 발칸의 전설로 명명하였으리라. 각 편의 본문 시작 전에 민요, 이야기, 연대기 내용 등을 몇 줄 인용하여 작품과 해당 전승과의 연관성을 드러내어 독특하다.

 

불가리아는 500년에 걸쳐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비록 1920년대에 출간되었지만 수록된 작품들은 오스만 지배 아래 신음하던 때를 시대적 배경으로 삼고 있다. 자주권을 상실한 채 피지배 계급으로 전락한 불가리아인들, 위세 당당하게 권력을 휘두르는 술탄 등의 오스만 지배층, 가난과 억압에 반항하여 산으로 숨어든 산적 또는 비적들이 등장하여 애환과 갈등과 대립 관계를 형성하여 다채로운 층위를 보여준다.

 

인제를 향한 구디 영감의 말마따나 평범한 불가리아 농민들은 양 같은 그저 그런 사람들”(P.124, <인제>)이다. 그들은 별다른 욕심이 없다. 평안한 일상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해주길 바랄 뿐이다. 현실은 녹록지 않다. 산적들은 무슬림뿐만 아니라 동포들도 무참하게 살육하며(<인제>), 가뜩이나 어려운데 흑사병이 마을을 휩쓴다(<흑사병이 돌 적에>). 독립을 향한 열망은 참혹한 대가로 다가온다(<젊은이들의 머리>).

 

평범한 사랑마저도 그네들에겐 힘겹다. 작중에서 유일하게 스테판이 도이나와 사랑의 결합을 이룰 뿐(<암사슴>) 모두가 사랑의 쓰라림을 겪는다. 사랑을 쟁취하기 위하여 싸우다 죽고(<가장 믿음직한 경호원>), 질투와 배신감에 이성을 잃어 죽이고(<포스톨의 두 방앗간>), 연인의 죽음에 절망하여 목숨을 끊는다(<보주라>). 그뿐이랴, 사랑의 상처를 입은 양치기는 하이두틴이 되어 숲속에서 슬픈 피리를 불며(<양치기의 비애>), 산을 버리고 사랑을 구한 산적은 사랑의 눈앞에서 죽음과 맞닥뜨린다(<시빌>). 늙은 영웅 크라이날리야는 옛적 연인을 잃었던 달맞이꽃 고원을 찾아가 행복한 죽음을 맞는다(<달맞이꽃 고원>).

 

당대 현실이 어려울 때 작가는 과거로 회귀한다. 욥코프도 마찬가지다. 열강의 도움으로 독립을 획득했으나 주변국과 잇따른 전쟁에서 패배하고, 1차 세계대전에서도 패전국의 나락으로 떨어지고 내홍에 휘말린 불가리아인들. 그들에게 자신들의 정체성과 자존감을 회복하고 민족적 화합을 기대하며, 국가와 민족의 거창한 이름 아래 무시되었던 개인과 감정의 소중함과 아름다움을 발견하고자 했던 것이리라. 그것을 작가는 발칸의 전설에서 끌어왔다. 발칸이 불가리아인들에게 갖는 감성은 남달랐던 모양이다. 마치 우리네에 있어 백두산이 갖는 상징성과 유사하지 않았을까.

 

루시 영감은 발칸을 쳐다보았다.

여느 때보다 더 웅장하고, 더 높고, 더 뾰족하고, 더 장엄해 보이는 발칸은 무슨 말인가를 하고 싶어하는 것 같았다. (P.7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