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욕의 시대 - 누가 세계를 더 가난하게 만드는가?
장 지글러 지음, 양영란 옮김 / 갈라파고스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제는 누가 세계를 더 가난하게 만드는가?’. 전작인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와 일맥상통한다. 굶주림의 원인이 식량 부족이라면 증산하면 된다. 기술적 문제인 셈이다. 하지만 전작을 통해 이미 절대적 부족이 아니며, 정치적, 경제적 사안임을 확인하였다. 빵이 없으면 케이크를 먹으면 되지 않느냐는 망언은 굶주림의 본질은 가난임을 모르거나 일부러 외면한다.

 

우리는 흔히 의문을 제기한다. 3세계의 국가들은 왜 자국민이 기아에 허덕이도록 방치하는가? 자신들의 권력과 치부만 중시할 뿐 국민들의 목숨은 하찮게 여기는 봉건적 가치관에 매몰되어 있는가 등등. 저자는 부채의 문제를 지적한다.

 

기아는 부채가 낳은 직접적인 산물이다. 왜냐하면 가난한 나라들은 부채 때문에 농업이나 사회기반 시설, 운송과 유통 등을 위한 설비 건설에 투자할 여력이 없기 때문이다. (P.116)

 

부채의 일부가 권력층의 부패와 밀접함은 사실이지만 모든 걸 설명해 주지는 못한다. 제아무리 썩어빠진 독재자라도 자국의 국부 증대에 무관심하지 않다. 더군다나 피압박을 헤치고 정당한 방식으로 정치권력을 획득한 지도자는 더더욱 그러하다.

 

저자는 별도의 장으로 에티오피아와 브라질의 사례를 자세히 설명한다. 지글러는 여러 혼란과 곤경에도 불구하고 자립을 향한 에티오피아의 사회와 문화의 자발성과 활력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브라질의 룰라 대통령은 어떠한가? 야심한 기아 제로 사업은 사실상 실패하였다. 참고로 양국은 모두 부채에 대한 이자와 원금 상환으로 국고가 텅 비어버린 상태다. 다국적 회사들의 이익을 보장하는 브라질의 새 정책에 대해 저자는 부정적 판단을 보류한다. 중환자에게는 치료에 앞서 어쨌든 생명 유지가 우선이니까.

 

저자는 상황의 극적인 개선을 위해 제3세계 국가의 부채를 전면 탕감해주자고 제안한다. 그러면 제1세계 국가의 국민과 기업은 길거리에 나앉지나 않을까하는 우려에 대해 단언한다. 부자는 여전히 부자로 남아있을 거라고. 지글러가 이렇게 부채 문제를 역설하는 이유는 기아 해결을 위한 근원적 접근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기아는 핵심적 인권의 실현과 맥을 같이한다.

 

인도주의적 견지에서 볼 때 이러한 주장에 반대를 할 개인이나 단체는 없을 거라고 믿는다면 순진하다. 신자유주의를 추종하는 월가와 다국적기업은 인권에 그닥 관심이 없다. 3세계 국가의 부채 탕감과 경제 발전은 항구적 경제 착취 체계를 유지하려는 이들로서는 인정할 수 없으리라. 그래서 지글러는 이들을 신흥 봉건제후라고 지칭하며 맹목적 이윤추구에 급급한 이들이 민주주의와 인권을 무시하고 파괴하는 원흉이라고 비판한다.

 

세계화 지상주의자들은 인간들을 착취하는 일에 방해가 되지 않는 한도 내에서만 인권을 좋아한다. (P.324)

 

장 지글러의 문장은 뜨거운 열기를 품고 있지만 단단한 대지에 굳게 기반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