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러 심리학을 읽는 밤 - <미움받을 용기> 기시미 이치로의 아들러 심리학 입문
기시미 이치로 지음, 박재현 옮김 / 살림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움받을 용기>를 흥미롭게 읽은 나로서는 그 책의 토대가 되었다는 이 책을 건너뛸 수 없었다. 원제는 '아들러 심리학 입문'으로 건조한데, 번역본은 다소 낭만적으로 윤색하였다. 대화체를 채용한 <공저와 구성이 전혀 다른데, 작가의 손길을 거치지 않은 아들러 심리학자 기시미 이치로의 진짜 모습을 접할 수 있다.

 

1부 각 장의 제목이 인상적이다. 미움받을 용기, 평범해질 용기, 행복해질 용기. 아들러 심리학은 용기의 심리학이다.

 

아들러 심리학은 책임을 묻는 엄격한 심리학이자 용기 있게 자신의 과제와 직면하기를 촉구하는 용기의 심리학인 것이다. (P.235)

 

이 책은 입문서이므로 아들러 심리학의 깊숙한 내용을 다루지는 않는다. 그리고 대부분이 고가 후미타케와의 공저에서 이미 소개되었기에 자체로서 새로운 지적 즐거움을 제공하지 않는다. 최초 독자라면 아들러에 입문하는 계기로, 공저의 독자라면 대화체보다는 정리된 서술문으로 재음미하는 기회로 삼으면 좋다. 2부는 인간 아들러를 알 수 있도록 아들러의 생애와 학문 세계에 대한 개요를 담고 있다.

 

아들러는 유독 용기를 강조한다. 환경 또는 성격(라이프스타일)에 굴복하고 안주한다면 우리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 자신의 무능력과 실패를 곱씹으며 타자를 원망하고 자위로 일생을 점철할 뿐이다. 행복해지기 위하여 현상을 타개하려면 행동을 해야 하고 그러려면 움직일 수 있는 용기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삶의 주체는 자기 자신이다. 자신의 삶을 타인의 판단과 인정에 내맡긴다면 진정한 자신의 삶은 존재하지 않는다. 남에게 착하고 특별한 누군가로 보이기 위해 항상 눈치 보고 전전긍긍하기를 포기할 때 우리는 비로소 편안함을 느끼게 된다. 그것이 평범해질 용기이자 미움받을 용기다.

 

아들러 심리학이 개인심리학의 범주에만 머물렀다면 자기계발서와 차별성을 나타내진 못했을 것이다. 아들러는 개인과 개인, 개인과 공동체를 연결하는 자신만의 사상체계를 구축하였다. 그것이 이른바 공동체 감각이다.

 

사회의 부조리에 직면할 때 대다수의 행동 양태는 비슷하다. 나 혼자서는 세상을 바꿀 수 없으므로 괜한 헛수고를 할 필요가 없다고 이내 체념하고 만다. 아들러는 다르게 말한다. 시작하는 게 중요하다고 본다. 누군가 나선다면 동조자가 생길 수 있다. 끝내 혼자 밖에 없어 세상을 바꾸지 못하더라도 최소한 자기 자신은 변화하게 되므로 그 자체로 의미가 있다.

 

저자는 심리학 연구자로서 나름대로 친절하고 부드럽게 아들러를 소개하려고 애쓰지만 베스트 셀러를 읽은 기대와 흥분으로 이 책을 펼친 독자 입장에서는 실망할 수 있음 또한 사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