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르웨이의 숲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양억관 옮김 / 민음사 / 2017년 8월
평점 :
오래전부터 <상실의 시대>라는 표제로 유명하여 독자의 선택을 고민케 한다. 원작의 내용에 충실하는 의미에서 원제를 따르는 게 당연하겠지만, 원작의 정신을 반영하는 측면에서는 다른 표제도 충분한 명분을 지닌다. 음악에 문외한인 나로서는 원제가 비틀즈의 노래라는 사실조차 몰랐으니.
이 작품은 당대 국내 젊은 작가들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는 평가가 있다. 이후 국내 소설의 경향이 바뀌었다는. 시대적 배경을 감안하면 그럴만하다. 외형상으로나마 독재정치 체제가 무너지기 전까지 우리 문화계와 사상계를 짓눌렀던 억압과 검열의 시대, 민주화라는 거시적 주제 아래서 개인의 소소한 감정을 논하는 것은 사치로서 금기시되었다. 이때 정치와 사회의 현안에는 관심 없이 오롯이 한 개인의 내적 감정에만 충실한 이 작품은 무척이나 신선하였을 테니. 게다가 파격적일 정도로 자유분방한 성적 감정과 표현의 일렁거림은 무언의 도덕규범에서 옴짝달싹할 수 없었던 문학계에 한줄기 서광이었다. 1960년대를 시대적 배경으로 하여 1980년대 후반에 출간된 이 작품이 현 시점에서도 여전히 새로 우면서도 소설적 재미를 놓치지 않는 연유라고 하겠다.
성장소설의 구성을 갖고 있는 이 작품의 이해를 위해서는 1960년대, 특히 1968년의 의미를 살펴봐야 한다. 이미 역사적으로 ‘68혁명’으로 정립된 당시의 사회변혁운동을 통해 기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유지되던 이념에 기반을 둔 보수적 정치체제를 거부하고 반전, 여성해방, 히피 등 탈권위주의화가 가속화되었다. 이러한 사회변화가 갑작스레 도래한 것은 아니었다. 작중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여러 대중가수들과 함께 유독 두드러진 존재, 비틀즈가 이를 드러낸다. 대중음악계에서 1960년대는 비틀즈의 시대였다. 작가 또한 이들의 음악에 경도되었음을 독자는 쉽사리 알 수 있다.
와타나베와 가까운 작중 인물은 모두 사회와 불화다. 기즈키는 물론 그와 와타나베를 연결하던 나오코 역시 정신적 불안정을 끝내 극복하지 못한다. 와타나베는 기즈키, 나오코를 통해 세상의 끈을 연결하고 있다. 기숙사에서도 학교에서도 그는 타인과 어울리기를 거부한다. 나가사와와 미도리를 제외하고는. 나가사와는 솔직하다는 면에서 적어도 위선자는 아니었다. 그들은 남들의 이해를 굳이 바라지 않는다. 세상에 부유하는 다른 이들과는 달리 미도리는 작중에서 유일하게 현실에 기반한 실체적 인물이다. 그녀가 와타나베와 잘 되길 바랄 뿐이다.
레이코 씨와 나오코는 생과 사의 반대출구로 나아간다. 레이코 씨는 나오코의 죽음을 계기로 요양원을 떠나 세상에 나갈 용기를 낸다. 나오코와 모든 경험을 공유한 그녀가 세상에서의 첫 선택을 와타나베와 시작함은 일면 자연스럽다. 그녀는 나오코의 분신이자 대역이므로.
젊은 영혼의 때 이른 선택, 조숙한 성(性)의 남용, 비틀즈로 대변되는 당대 대중예술의 적극적 존재감. 과장되고 작위적이지만 한편 선열하고 순수하다. 와타나베는 마지막에 자문한다. 자신이 지금 어디에 있는지를. 우리는 알고 있다. 와타나베가 상실의 시대를 버텨낼 것이고 세상을 꿋꿋이 살아낼 것임을. 가슴 속에 기즈키와 나오코를 품은 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