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금애기 : 생명의 신 탄생의 신이라 국어시간에 고전읽기 (휴머니스트) 202
김예선 지음, 이은주 그림, 전국국어교사모임 기획 / 휴머니스트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리데기와 함께 언급되는 존재가 당금애기다. 양자는 서사무가라는 근원과 주인공이 모두 여성인 공주라는 인물상의 특성을 공유한다. 반면 전자는 망자를 저승으로 인도하는 역할인 데 반해 후자는 탄생의 신이라는 차이점을 보인다. 더욱이 후자는 석가여래가 남주인공으로 등장하여 이채롭다. 이 책은 1968년 양평의 김용석이 구연한 <제석본풀이>를 토대로 한다.

 

당금애기 서사의 전반부는 남녀 주인공의 출생과 성장으로 구성된다. 석가여래를 서천서역국의 왕자로 설정한 대목과 석가여래가 옥황상제에게 꾸지람을 듣는 장면은 통상적 인식과 배치되어 낯설지만 매우 흥미롭다. 한편 당금애기의 아버지인 해동조선국왕이 천자의 명령으로 왕권을 잃고 귀양을 떠나는 모습은 당대 서민들의 국제관계 인식을 반영한 것이리라.

 

바리데기와 동수자 또는 무장승의 결혼은 상황상 다른 여지가 불가능하지만 어찌 되었든 당사자의 선택 행위의 결과다. 그럼에도 상대방의 곤궁한 처지를 이용하여 거부할 수 없는 선택을 하도록 조장했다는 측면에서 비난받아 마땅하다. 당금애기의 입장은 전혀 다르다. 당금애기 이야기에서는 남성지배 가치의 폭력적 요소가 개입한다. 당금애기는 석가여래의 실체를 알지 못하였고, 그와 어떠한 교감도 갖지 않았다. 더욱이 노승으로 변신한 석가여래의 신통력에 감응하여 알지 못하는 사이에 아이를 잉태하는 황당하기 그지없는 상황에 내몰리게 된다. 수천 년 전의 건국 기원 신화도 아닌데 당금애기는 미래를 일방적으로 차압당하고 세속의 삶에서 가족들에게도 버림받은 채 나락에 떨어져 고통을 겪는다.

 

당금애기는 이렇게 하늘로 올라가, 아이 셋을 낳아 훌륭히 키운 공으로 삼신이 되었다. 탄생의 신이 되어 온 세상을 두루 살펴 집집마다 아이를 점지하고, 순산하도록 도와주며, 태어난 아이가 무럭무럭 자랄 수 있도록 보듬고 돌봐 주는 것이었다. (P.100)

 

당금애기 서사 역시 전통적인 행복한 결말 구조를 지닌다. 세 아이는 자라서 삼불제석이 되고, 당금애기는 탄생의 신이 되어 모든 게 다 잘되었다는 결말은 억지스럽다. 그 과정에서 당금애기 개인이 당하는 삶과 정신적 고난과 피폐함이 과연 타당하고 치유될 수 있다는 말인지. 당금애기 서사는 전통 봉건사회의 지배적 가치관이 무속과 교묘하게 결부되어 지배관념을 공고히 하는 데 일조한다.

 

부록이 매우 유익하다. 당금애기 모자 중 아무도 신이 되지 않는 경우, 당금애기만 신이 되는 경우, 세쌍둥이만 신이 되는 경우, 그리고 모두가 신이 되는 경우 등 당금애기 설화의 결말이 지역마다 판이하다는 점은 단지 이본 차이만은 아닐 것이다. 또 삼승할망과 저승할망에 관한 제주도 설화도 수록하고 있어 삶과 죽음의 연관성에 대해 더 생각할 점을 제시하고 있다.

 

솔직히 당금애기 서사는 당혹스럽다. 제아무리 좋게 포장하고 해석해도 과연 이것이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읽힐 만한 현재적 가치가 있는지의 깊은 성찰이 필요하다. 옛이야기의 무조건적 수용이 아닌 비판적 읽기가 절실히 요구되는 대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