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만화로 보는 재미있는 세계사 3
송창국 지음 / 계림닷컴 / 2001년 5월
평점 :
품절
제3권의 부제는 ‘근대 유럽의 세계’이다. 근대 유럽의 형성, 절대왕정과 시민혁명, 프랑스 혁명과 산업혁명, 마지막으로 자유주의와 민족주의라는 4개 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서구문명을 집중적으로 다룬 탓도 있겠지만, 아시아권의 생략은 근대 세계에 있어 역사적 비중의 차이가 존재함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
이 책에서 흥미를 끄는 대목은 코르테스와 피사로에 의한 중남미 정복을 제법 깊이 있게 다룬다는 점이다. 또한 시몬 볼리바르가 주도한 라틴 아메리카의 독립 장면도 여타 세계사 개설서에서는 쉽게 찾아보기 어려운 내용이므로 작가의 선택에 박수를 보내고 싶다.
제3권에서도 여전히 오류의 덫을 피해가지 못한다. 물론 이전에 비해서는 상당히 양호해진 점을 인정한다.
프리드리히 2세는 1668년 오스트리아와 아헨 조약을 체결한 후 슐레지엔을 손에 넣고, 1746년 엑스라샤펠 조약으로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을 끝냈다. (P.146)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전쟁의 결과를 책에서는 위와 같이 정리한다. 참고로 1668년 아헨 조약은 루이 14세가 네덜란드 전쟁의 결과 체결한 조약이고, 엑스라샤펠 조약은 아헨 조약의 프랑스어 이름이다. 따라서 위의 내용을 바로잡으면 다음과 같다.
프리드리히 2세는 1748년 오스트리아와 아헨 조약을 체결한 후 슐레지엔을 손에 넣고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을 끝냈다.
앞서 높이 평가한 라틴아메리카의 독립 장면에도 오류는 존재한다.
볼리바르의 독립군은 파죽지세로 에스파냐군을 격파하며 1819년 콜롬비아와 그레나다, 1821년 베네수엘라, 1822년 에콰도르를 해방시켰다. (P.247)
볼리바르는 1819년 콜롬비아를 해방시켰다. 누에바그라나다는 콜롬비아 지역을 가리키는 명칭이다. 볼리바르는 1819년 콜롬비아를 해방시키면서 그랑 콜롬비아 공화국을 선포하였고, 이후 해방시킨 베네수엘라와 에콰도르 등을 공화국에 편입시켰다.
시몬 볼리바르에 관한 사적은 통상적인 역사서에서 발견하기 어렵기에 작가가 정확히 기술하기 어려울 수 있었으리라 한편으로는 이해가 가는 측면도 있지만 이왕 부각시키기로 했으면 올바른 기술이 요구된다. 라틴아메리카의 해방자인 볼리바르는 생전에 자신의 이상을 실현시키지 못했지만 여전히 남미에서는 깊게 추앙받고 있다. 볼리비아 국명의 유래, 베네수엘라의 시몬 볼리바르 국제공항, 세계 클래식 음악계의 스타인 두다멜이 이끄는 시몬 볼리바르 유스 오케스트라 등에서 그의 자취를 엿볼 수 있다.
아쉽지만 내가 아이의 서가에서 찾아낸 책은 제3권이 마지막이다. 매권이 3백면에 가까운 전 5권을 완독한다면 세계사 흐름에 대한 전반적 지식을 쌓기에 충분하리라. 이후 보다 심화된 내용은 부분사를 탐독하면 된다. 다만 이 모든 것은 앞서 꾸준히 제기한 오기와 오류가 모두 바로잡아져야 한다는 단서에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