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 머더 포 투


2017. 3. 14. ~ 5. 28.


DCF대명문화공장 2관 라이프홀


2017. 3. 24. 캐스트

마커스 안창웅, 용의자 박인배, 피아니스트 김수영



출연 캐릭터.

1. 순경 마커스, 2. 순경 루, 3. 소설가의 아내, 4. 정신과 의사, 5. 배우 샤론 섹스톤, 6. 조카 스테파니, 7&8. 머레이&바바라, 9&10&11. 소년 합창단 3인, 12. 생일축가 부르려다 장례식 참섬하게된 한인교회 신부, 13. 순경 마커스의 옛 연인 잠깐 스치듯이 등장, 14. 순경 루 이후 부임하게 된 순경? 혹은 경감?


14명의 캐릭터가 출연한데서 한번 세어봤다. 출연 캐릭터가 저게 맞는지 틀리는지 알 수 없다.


이해도 공감도 되지 않았던 부분은 도대체가 왜 개인적인 원한이라고는 1도 없어보였던 사람이 범인이어야 했는지?

- 뭔가 공연은 끝내야하니 어거지로 끼워맞춘 느낌이었다.

- 아무리 코미디로 만들었다지만, 이런 어거지는 옳지 않다.


코미디라고는 하나 사실 공연 자체는 재미없었다.

공연을 보는 중간중간 웃음이 났던 이유는 배우의 호연과 열연, 거기에 몇 가지 재간이 더해졌기 때문이다.

극본 혹은 연출의 문제라고 생각이 된다.

- 딱히 다른 사람에게 보라고 추천하지 않는다.


기억에 남는 것은 소년 합창단 3인의 노래 "그까이꺼뭐"+가운데손가락 and 샤론 섹스톤의 우아한 손짓.


+ 2인극에 남성 배우 2명이 출연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 한국의 각종 연출가와 뮤지컬 제작사는 여성 2인극을 잘 만들 생각이 없는건지?

+ 한국 뮤지컬&연극의 주소비층이 여성이니까, 여성관객을 모으기 위한 잘생긴 남성배우 캐스팅, 그리고 남성배우 캐스팅을 위해 남성 캐릭터를 전면에 내세우는 발상은 쉽고 단순하고 간단하지만 좋은 방법은 아니다.

+ 남성 캐릭터가 주로 나오는 극본은 쓰거나 수입할 생각말고 좋은 극본을 잘 찾을 생각부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