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바웃 레이를 보는 것은 너무 힘들었다.


1. 상영관이 거의 없었고, 2. 상영 시간은 한낮 아니면, 밤 10시 이후.


그나마 저녁 7시 30분에 상영하는 KU시네마테크와 트랩은 집에서 너무 멀어 가는 것이 말성여졌다.

- 결론은 KU시네마테크였지만.


한국에서 FTM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 것은 극히 드물다.

- 한국 LGBT 다큐멘터리 중에 FTM에 대한 것이 있다고 하지만, 본 적이 없다.


한국 TV에 나오는 LGBT의 90%는 게이 혹은 MTF이고, 10%는 레즈비언 정도.

- 홍석천이 게이라고 커밍아웃하고, MTF 하리수가 나온 뒤로

- 편견과 인식 향상이 동시에 생겼지만, 어쩔 수 없이 게이와 MTF에 대한 것이 대부분이고

- 어떤 사람은 게이와 트랜스젠더를 구분하지 못 하는 경우도 있다.


어바웃레이의 가족은 레즈비언 할머니 부부, 이성애자 싱글맘과 성정체성을 남자로 규정하고 남성으로 트랜스젠더 하기를 원하는 레이.


레즈비언 할머니 돌리의 손자/녀에 대한 걱정과 트랜스젠더에 대한 편견넘치는 언어 때문에 레이가 종종 짜증을 내는 모습.

어떤 상황을 회피하고 싶고 내 탓이 아니라고 하고 싶어하는 것.

거의 평생을 보지 않은 父가 너가 이렇게 된 것이 내 탓이냐고 묻는 말에 당신이 나의 모든 것을 망쳤지만 이것은 당신 때문이 아니라는 레이의 대답.

- 레이의 대답에 안심하는 父의 모습이 굉장히 짜증났지만 아무튼.


"내가 여자랑 섹스한다고 마음이 넓은 것은 아니야."라는 돌리의 말에 공감이 갔다.

- 내가 채식한다고 착한 것은 아니야.

- 내가 장애인인권에 대해 지지를 한다고 해서 내가 남한테 착한 말투를 써야 할 필요는 없다라는 두 가지 생각과 함께

- 인권이건 동물권이건 당사자 운동이건 뭐건 내 일 아니라고 관심끄지 말고 모든 생명의 권리라는 것에 대해 생각을 하는 사람이 많아졌으면 하는 바람도 섞였다.


맨 앞에 나오는 카메라 워킹이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