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 도착하자마자 영화를 보러 다녀와서 12시간을 잤다.

일요일에 일어나자마자 친구를 만나러 가고,

어제는 새로운 사무실 출근을 위한 면접과 예전 사무실 방문을 하니 글을 쓸 시간이 없었다.

더 정확하게 말을 하자면 오전에 도서관에서 글을 쓰면서 사진을 첨부하려고 하니

사진용량이 너무 커서 알라딘 서재에는 올라가지도 않고,

도서관 컴퓨터에서는 사진 사이즈 변환을 하지 못 해서 시간이 있어도 못 썼다.

 

스페인 여행을 다녀와서 어떤 글을 제일 먼저 쓸까 약간의 고민을 했다.

뱀파이어 타로카드와 고양이 타로카드도 있고, 책도 있고, 공연 이야기도 있고,

그외 잡다한 여러 이야기도 있었는데

아무래도 알라딘이다 보니 책에 관한 리뷰가 가장 좋을 것 같아 책으로 가기로 하였다.

 

파란색은 따뜻하다.

The Blue is the warmist color.

Le Bleu est une couleur chaude.

El Azul es un color cálido.

 

 

 

 

좀 더 큰 것이 한국어판, 작은 것이 스페인어판이다.

독일에서 환승할 때 독어판도 찾아보려고 했지만 힘들어서 안 했다.

프랑스어는 찾아볼 생각조차 안 한것은 사실이다.

스페인버젼이 크기가 좀 더 작아서 들고다니기는 편할 것 같다.

한국의 책의 뒷면에 어디에서 상을 받았다는 내용을 적어두었는데

스페인은 책에 나온 글귀와 함께 시놉시스가 쓰여져 있다.

 

 

크기 차이에 비하여 두께의 차이는 없는 듯.

 

 

표지를 열어보니 안에 있는 면의 색깔이 다르다.

한국어는 진한 파란색, 스페인어는 좀더 옅은 파랑색(하늘색?)

 

 

 

책 안에 쓰여있는 제목의 디자인도 달랐다

한국은 파란색과 검은색으로 멋을 부린 글자체, 스페인어는 그냥 검정으로 심플한 글자체이다.

그림이 작은 것은 책 자체가 더 작다보니 나온 결과인 듯.

 

 

안에 있는 내용은 그림이 좀 더 작은 것과 필기체같은 것으로 쓰여진 스페인어라는 것을 제외하고는 같다.

단지 외국어 필기체가 익숙하지 않다보니 읽기 힘들다.

 

 

잘 나왔는지 모르겠는데 한국어판과 스페인어판의 뒷면이다.

위에 있는 것이 한국어판. 역자에 관련된 내용이 적혀져 있다.

스페인어판은 그냥 아무것도 없는 백지.

 

 

맨 뒤도 좀 다르다.

한국어는 파란색 색지 처리를 해 둔 반면에 스페인어는 스틸컷과 눈동자를 심어두었다.

 

나라마다 북디자인이 약간씩 다른 것은 당연한가보다.

스페인의 글씨체는 내가 알아보기 힘든 것은 사실이나 워낙 스페인어를 못 해야지.

그냥 내가 못 하니까 못 알아보는 것으로.

책은 스페인어 공부나 하면서 천천히 읽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