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추어리 농장 - 동물과 인간 모두를 위한 선택
진 바우어 지음, 허형은 옮김 / 책세상 / 2011년 10월
평점 :
절판


이 책을 읽기 거의 바로 전에, [12초마다 한 마리씩]이라는 가축도살에 관련된 책을 읽었다.

공장식 도축 과정에서 보여지는 동물학대와 인종(혹은 저소득층에 대한)차별, 인간성 말살...

생추어리 농장의 처음은 이 공장식 도축이 동물들에게 얼마나 비인도적인지부터 시작이 되었고,

그 때문인지 초반에는 [12초마다 한 마리씩]에서 묘사된 부분이 떠올랐다.

이 두 권의 책을 읽으면서 비인도적인 공장식 도축이 동물과 인간을 모두 학대학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생산량을 늘리기 위하여 더욱 더 빨라지는 기계식 시스템 속에서 인간의 감정은 점점 무뎌져 동물에게 감정이 없고, 고통을 주어도 괜찮다는 생각을 하게되고

동물은 지속적으로 학대을 받으며 도축이 되고, 도축이 불가능한 상황-다우너가 되었거나 도축이 되기전 죽음으로 이르게 되고, 혹은 다우너인 상황이 죽음으로 오해를 받아 도축도 정상적인 수의사의 치료도 받지 못한-이 된다.

생츄어리 농장을 처음 만든 활동가들은... 처음에는 이 공장식 도축의 비인도적인 상황과

다우너들의 동물복지를 위하여 운동을 하게된다.

다우너들가 치료를 받게 해주던가, 아니면 인도적으로 안락사를 시켜달라는 운동을.

다우너가 도축이 되어 식료품으로 납품이 되면 그것을 먹는 사람의 복지에 문제가 생기고,

다우너 상태로 서서히 죽게 만드는 것은 비인도적이니. 차라리 고통없는 죽음을 달라며.

하지만 도축장은 이것을 거부한다. 단지 비용이 추가되어 자신들의 이익이 그만큼 깍이므로.

결국 생추어리 농장 활동가들이 이기게 되지만.

 

앞 부분의 내용을 간략히 썼지만, 책이 진행 될 수록 공장식 도축 뿐만이 아니라

공장식 사육(크레이트, 집단 밀집 사육)이나 최대 이윤을 위한 개량종(자연적인 유전형질의 변화)

그리고 단일품종 재배가 얼마나 동물의 복지과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지

얼마나 비인도적이고, 동물의 자연적인 모습을 파괴하는지 묘사한다.

동물이 스트레스를 받아 이상행동을 보이는 것이 오히려 자연스러운 모습이라 하면서.

공장식 도축과 공장식 사육장에서 보여지는 동물의 모습이

생츄어리 농장이나 자연스러운 행동을 하는 동물의 모습과는 많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최대의 이익을 위해서 동물학대를 하는 모습과 그 일을 진행하게 되는 노동자의 인권이 침해되는 상황이 나는 이해가 되지 않았다.

더욱더 이헤가 되지 않는 부분은 기업은 최대 이익이 나도 이익에 대한 부분을 독식하지

밑바닥에 있는 사람에게 절대 주지 않는데도, 공장식 도축장과 공장식 사육장이 있는 마을에서는

그런 기업의 이익을 정당화 하는 것이었다.

자신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한다는 이유만으로.(그들에게는 그것만이 전부이기에...)

 

써져있는 내용은 너무나 절망적인 내용이었지만 그래도 희망을 볼 수 있었던 것은

여러 단체가 연합하여 동물의 학대를 방지하고, 공장식 사육이 아닌 자연스러운 가족농장을 꿈꾼다는 것과

다수의 활동가가 10년 이상 2~30년 동안 지속적으로 활동을 하고 있고

그로인해 다양한 동물학대방지법이 만들어졌다는 점,

동물 학대를 반대하는 생각이 다수의 사람에게 퍼져나갔다는 것이다.

비록 아직 북미와 유럽의 이야기지만.

 

나는 꿈꾼다. 한국에서도 가축동물복지에 대한 생각이 깊어지기를

그리고 가축동물을 위한 쉼터가 마련되기를.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생츄어리 농장을 비롯하여 가축동물보호소에서 사진을 찍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