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버는 상가 망하는 상가 - 공실과 매출 걱정 없는 상권분석 인사이트
이홍규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5년 5월
평점 :
예약주문


'돈 버는 상가 망하는 상가'의 목차를 보면 빅데이터에 의존하기보다 오픈업, 엑스레이맵, 호갱노노, 나이스비즈맵 같이 상권과 입지분석에 도움이 되는 앱을 실제로 어떻게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지를 알려주고 경쟁자 분석 또한 다양한 시각으로 할 수 있게끔 도와주고 있었다. 특정 브랜드의 편의점이나 맛집의 경쟁사가 바로 옆에 있는 가게가 아닌 배민으로 배달 가능한 모든 곳이라거나, 개인카페의 경쟁사가 스타벅스 같은 프랜차이즈가 아닌 홈카페까지 생각해야 고려해야 하는 것은 다수의 사람이 쉽게 생각하지 못하는 부분이라고 생각했다.


많은 사람이 자영업을 하기 위한 가게 오픈을 하기 앞서 입지분석과 상권분석을 하기 마련이다. 문제는 무조건 유동인구, 배후세대, 지역철 역 개통, 신축 아파트 등과 같은 단어에 매몰된 입지와 상권 분석을 한다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자영업으로 하는 가게의 특징(포지셔닝, 콘텐츠, 타켓층)을 중심으로 입지와 상권 분석이 기본이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SNS감성이 넘치는 힙한 프리미엄 카페라면 2030 세대의 여성이 많이 찾는 연남동이나 성수동에 가게를 오픈해야겠지만, 스터디카페라면 양천구 목동의 학원가나 경기도 평촌의 학원가 밀집지역에 있는 청소년 및 부모를 타겟팅 할 필요가 있다. 책에 소개된 데이터 사이트(오픈업, 엑스레이맵, 나이스비즈맵 등)를 보면 요일별, 시간대별 방문 이용자의 결제내역 분석이 상세하게 되어있어서 현실적인 분석을 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었다. 너무 거대한 빅데이터를 나 혼자서 분석하기보다 제대로 된 분석을 잘 이용하는 법을 알려주는 도서라서 되게 현실성 있는 T같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