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를 이기는 습관 - 도파민형 인간·세로토닌형 인간 맞춤형 루틴 설계법
코널 코완.데이비드 키퍼 지음, 김두완 옮김 / 김영사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뇌를 이기는 습관'의 서문을 읽으면서 개인별 뇌 유형 질문지를 한 번 해보았다. 나는 나의 행동의 이유가 뇌의 본능적인 판단 때문인지 아니면 사회적으로 요구하여 학습된 내용의 결과물 때문인지 분간하기 매우 어려웠다. 물론 모든 사람이 공격형과 방어형으로 100% 분리되지 않고 어느 정도 성향이 섞인다고는 하지만, 나는 나의 약점이나 신경계의 반응을 정확하게 알지 못하는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기본적으로 사람은 뇌를 각성하는 도파민과 안정을 주는 세르토닌이 적당하게 작용해야 하지만, 사람에 따라 타고난 신경계 반응이 다르다. 어떤 사람은 도파민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고 보상 중심 성향이 강하여 도전적이고 위험한 행동을 선택한다. 이와 반대로 세르토닌에 반응하는 사람은 회피 성향이 강한 편이고 예민한 성격으로 묘사된다. 내가 어느 호르몬의 자극에 더 쉽게 반응하고 감정이 충돌하는지 살펴볼 수 있다면 일상적으로 보이는 작고 사소한 문제부터 갈등 관계를 완화하는데 더 도움이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모든 문제의 이유가 호르몬 때문은 아닐테지만, 그래도 심리적 작용에 대해 스스로 깊이 생각해 볼 수 있는 순간을 가질 수 있어서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