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루스
제임스 밴더빌트 감독, 로버트 레드포드 외 출연 / 콘텐츠게이트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부시의 병역비리에 대한 취재를 위한 내용 보다는 그 이후에 메리 메이프스를 비롯하여 취재진에게 가해진 각종 압박에 대해 더 집중하면서 보게 되었다. 누구든지 세상에 의문을 던질 수 있다. 메리 메이프스는 물론 취재와 방송을 함께 만들었던 취재진은 그저 '부시의 병역비리'에 대해서 '질문'을 했을 뿐이다. 부시의 병역비리가 사실이라면 '부시'가 그에 대한 정당한 처사를 받으면 되고, 사실이 아니라면 '취재진'이 그에 대한 정당한 처사를 받으면 되는 것이었다. 문제는 보도 이후에 '부시의 병역비리'에 대한 조사가 아니라 질문 그 자체에 대한 문제제기가 있었다. 왜 질문을 하면 안 되는가? 왜 의문을 가지면 안 되는가?

'질문을 하는 것 자체를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 그 자체가 자유민주주의에 위배되는 것 아닌가? 이 세상에서 자유민주주의란 '돈이 많은 사람'만을 위한 것은 아니다. 누구든지 의문을 제기하고, 질문을 할 수 있으며, 그에 대한 대답을 받을 수 있는 것이 자유민주주의의 속성 중 하나이다. 권력층에게 질문을 던지는 것 자체가 문제라고 생각하는 '어떤 집단'은 의문과 질문 자체를 하지 못 하도록 막고있다. 특정한 누군가를 위한 자유민주주의가 과연 올바른 자유민주주의인가?

제일 최악이었던 것은 메리 메이프스의 정치적 성향이 좌파이고, 성적지향이 레즈비언이며, 자유주의적 성향을 가졌기 때문에 부시를 공격하기 위해 보도를 했다고 말하는 것이었다. 질문을 하는 것과 정치적 성향, 성적지향이 도대체 어떤 상관관계인가? 그러면 '보수적인 이성애자 남성'이 부시의 병역비리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면, 이 보도는 '정상적'으로 치부될 수 있다는 것인가? 어떤 사람도 단 하나의 정체성으로 묘사되지 않음에도 인간은 흑백으로 사물을 나누려고 한다.

사실과 진실은 어떻게 다른가? 진실은 무엇인가? 어떤 말이나 문장을 표면 그대로 믿어도 되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