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라진 소녀들의 숲
허주은 지음, 유혜인 옮김 / 미디어창비 / 2022년 12월
평점 :
공녀제도는 고려가 몽골에 복속된 이후 원나라와 명나라의 요구로 고려 후기부터 조선 전기까지 한국(한반도/당시 고려와 조선)의 여성을 원나라 혹은 명나라에 보내는 것이었다. 기록에 따르면 한 번에 공녀로 끌려간 여성은 보통 10명이었지만, 많을 때는 40~50명에 이를 때도 있었다고 적혀있다. 고려시대 때 공녀로 바쳐졌던 여성의 나이가 13~16세였고, 조선 세종때까지 공녀제도가 지속되었기에 조선시대의 조혼제도는 공녀로 딸을 보내기 싫었던 부모의 선택사항 중 하나였던 것 같다. '사라진 소녀들의 숲'은 역사서에 기록되어 있는 공녀제도 때문에 피해를 입은 여성에 대한 소설이다. 소설가 허주은은 인천에서 태어났지만 캐나다로 이민을 간 후에 뒤늦게 한국의 역사를 알게 된 케이스이다. 한국에서 자랐다면 중고등학교 때 국사를 배우면서 공녀에 대해 들었겠지만 캐나다에서 청소년 시기를 보내다보니 성인이 되어서야 역사서에 적힌 공녀라는 것을 알게 되고 이것을 모티브로 삼아 추리소설을 쓰게 된다.
왜 하필 배경이 제주인가 싶지만 제주는 고려와 조선시대 때 죄인의 유배지로 사용되던 곳이었다. 공녀 차출 초기에는 노비나 죄를 지은 가문의 여성이 주로 보냈으니 아마 제주에 있는 여성 중 노비나 죄인의 가족이 공녀로 많이 가지 않았을까 싶다. 공녀 제도로 인하여 중국으로 강제로 끌려가야하는 여성과 딸을 타지로 보내기 싫은 가족의 선택이 다른 어린 여성을 잡아 대신 보내고 그로 인한 납치 사건으로 인해 벌어진 추리극이었다. 사라진 것은 소녀가 아니라 도덕성이다. 인간은 '인간성'이라는 단어로 인간동물과 비인간동물을 구분지으려고 무던히 노력하지만 인간적인 인간동물보다 인간적인 비인간동물이 더 많이 발견되는 이유는 도덕적이고 이성적이며 이타적인 '인간성'을 오직 인간동물만이 가지지 않았다는 반증같다. 소설 자체의 흡입력은 떨어지는 편이다. 여러 이유가 있었을테지만 그 중 한 가지는 아마 작가가 한 번도 제주도를 가본 적이 없는 사람이라는 느낌이 들어서였다. 제주에 갔던 사람치고는 배경묘사가 너무 부실했다. 육지 사람이 알 수 없는 제주 특유의 문화가 소설에 제대로 표현되지 않았다는 느낌도 강했다. 조선 궁궐 배경의 추리 소설이 2023년 10월 출간되었는데, 이 책에서는 보다 더 한국적인 요소가 제대로 표현되었기 바래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