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현실 - XR은 어떻게 디지털 전환의 미래가 되는가
제레미 돌턴 지음, 김동한 옮김 / 유엑스리뷰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VR, AR, MR, XR에 대해 다루고 있는 도서 '확장현실'에 대한 리뷰를 쓰기에 앞서 나는 IT 산업에는 완전히 문외한이다. UX, UI 디자인은 능력이 없어서 못한다. UX가 사용자 경험이라는 User Experience의 약자이고, UI가 User Interface의 약자라는 것을 알고 있지만 아예 IT에 대한 개념이 없어서 기초적인 관련 서적을 읽어도 이해를 하지 못 한다. 그런 내가 UX와 UI를 뛰어넘어 VR, AR, MR, XR에 대해 논하고 있는 확장현실을 읽은 것은 VR, AR, MR, XR이 미래산업이 아니라 현재 우리 주변에 놓여있는 현실 산업이기 때문이다. 디지털을 사용한 현실 확장은 컴퓨터가 집에 보급이 되는 그 순간부터 시작된 것이 아닐까 싶을 정도로 오래되었다.

기본적인 용어를 정리하자면

VR : Virtual Reality, 가상현실, 컴퓨터로 만들어 놓은 가상의 세계에서 사람이 실제와 같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AR : 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 스마트폰, 태블릿PC 또는 안경 형태 등의 기기를 통해 보이는 이미지에 부가 정보를 실시간으로 덧붙여 향상된 현실을 보여주는 기술

MR : Mixed Reality, 혼합현실, 현실 세계와 가상세계 정보를 결합해 두 세계를 융합시키는 공간

XR : eXtended Reality, 확장 현실, VR, AR, MR 기술을 망라하는 초실감형 기술 및 서비스

이렇게 볼 수 있다. 도서 확장 현실은 VR, AR, MR, XR에 대한 기술이 어떻게 발전하고 현실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알려주고 있는 정말 기본 개념서라고 보면 된다.

내가 생각한 확장 현실은 상당히 단순했다. 소설로 자주 읽었던, 도구를 사용한 Virtual Reality 게임 정도로 가상현실에 대한 상상을 하고 있었는데 현실이 되어버린 가상현실은 가상과 현실의 개념을 칼로 자르듯이 나누지 않고 가상과 현실을 혼합한, 말 그대로의 확장 현실이었다. 이는 기술의 발전도 한몫했을 테지만, 개인 컴퓨터와 스마트폰이 보급이 되고 와이파이를 사용한 인터넷 연결이 자유로운 환경이 되면서 개인이 특정 공간에 얽매이지 않고 현실 공간과 비현실 공간 모두에 위치할 수 있는 환경이 되어서라고 생각을 하였다. 내가 확장 현실이 미래산업이 아닌 현재의 산업이라고 생각하는 이유는 실제로 확장 현실 기술이 현재 구현되고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물류창고는 물론 동영상 콘텐츠를 제작하여 사람을 교육 및 훈련시키는 프로그램까지 나오고 있다. 물론 그 산업인력 자체가 아직은 약간 소수이지만 이 기술이 조금씩 보편화된다면 VR 게임을 넘어서 일상생활 자체가 모두 XR이 되어버리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경제력이 있는 누군가는 보다 좋은 기계를 사용하여 좋은 정보를 가질 수 있겠지만 저소득층이나 장애가 있는 누군가는 제대로 된 XR을 누리지 못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이 책을 한 번 읽어서 확장 현실에 대한 모든 개념을 이해하였다고 말할 수 없고 리뷰 자체도 전문적으로 쓰지는 못한다. 이 책은 확장 현실에 대해 전혀 문외한인 사람을 위한 기본 개념서라는 생각도 들었다. 확장 현실을 여러 번 읽고 AR, VR, MR, XR에 대한 생각을 좀 더 정리한 다음에 관련 도서를 읽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