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유의 충돌과 융합 - 동아시아를 만든 세 가지 생각 역사의 시그니처 2
최광식 지음 / 21세기북스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1세기북스에서 역사의 시그니처 시리즈 1탄, '혁명과 배신의 시대'에 이어 역사의 시그니처 2탄 '사유의 충돌과 융합'을 출간하였다. 역사의 시그니처 시리즈로 나온 책 2권 모두 한국, 중국, 일본 세 나라의 역사를 다룬 내용이며 동아시아 3국의 역사를 동떨어지게 만든 것이 아니라 서로 관계성을 주고받은 내용을 같이 서술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긍정적인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상당히 재미있게도 한국이 싫어하는 나라에서 거의 언제나 중국과 일본이 순위권 내에 올라와 있는데 이는 일본과 중국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지금도 당장 네이버나 다른 포털에서 검색을 하면 중국이 싫어하는 나라에 한국와 일본이 순위권에 올라와있고, 일본이 싫어하는 나라에는 중국와 한국이 순위권에 올라와있다. 바로 옆에 붙어있는 3국이다 보니 역사의 맥락을 함께하면서 서로 침략하고 전쟁과 반목을 하고 동맹을 맺기도 하지만 긍정적인 영향과 함께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받다 보니 여러 감정으로 인해 서로 견제하는 나라가 된 것 같다.

'사유의 충돌과 융합'에서는 동아시아 3국에서의 도교, 유교, 불교의 전파 과정과 이를 받아들이는 부분, 세 개의 종교가 각 나라에서 어떤 위치를 가지게 되었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해 역사적으로 다시 바라보는 내용이 많았다. 잘 알고있다고 생각하였지만 책을 읽으면서 상당히 낯설었고 새로 알게 된 내용도 많았다. 동양 철학은 너무나 익숙하다보니 제대로 알지 못하면서 '알고있다.'는 착각을 하고 있었던 것 같다.

사회윤리로서의 통치이념이었던 유교, 내세의 영역을 맡고 있던 불교, 현재의 삶과 개인 수양 및 양생을 담당하던 도교는 동아시아에서 서로 경쟁하기도 하면서 제자리를 잡고 있었던 것이 아닌가 싶다. 유교는 종교라기 보다는 일상생활에 상당히 뿌리깊게 박히고 특히 한국에서는 정치와 융합하여 '유교문화권의 중심'이 되었는데, 중국은 불교, 일본에서는 도교가 한국보다 더 중요시되는 사상 같다. 한국에서의 도교는 종교라기보다는 민간신앙처럼 전승이 된 것 같다.

역사의 시그니처 시리즈를 읽으면서 동아시아를 다시 아는 느낌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