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걷기 좋은 길 111
한국여행작가협회 지음 / 열번째행성(위즈덤하우스)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책에 소개되어있는 111개의 길에 대한 내용을 모두 옮겨 적을 수는 없고, 실제로 내가 일부라도 걸어보았던 1. 상암동 하늘공원 메타세쿼이아 숲길, 2. 명륜동 서울 성곽 길, 3. 수원 화성 성곽길, 4. 안양예술공원, 5. 전주 한옥마을 길에 대한 소개와 함께 짤막한 기억을 나눠보도록 하겠다.

  1. 상암동 하늘공원 메타세쿼이아 숲길

서울 마포 월드컵 경기장 인근의 공원 사이 길게 뻗은 메타세쿼이아 숲길은 2002년 월드컵공원을 조성하며 만들어진 숲길로, 한강 변에서부터 하늘공원으로 향하는 길 중간 샛길에 이어져 있다. 메타세쿼이아 나무는 단풍이 들면 무척 아름다운 절경을 보여주기에 이 길은 ‘가을 단풍길’이란 이름으로 불릴 만큼 화려한 단풍으로 더 많이 알려져 있다. 하늘공원의 메타세쿼이아 숲길에 가게 된 것은 사진을 찍는 친구의 작업실이 그 근처였는데, 교통편이 상당히 불편한 곳에 위치하여 제일 가까운 지하철역인 6호선 상암역으로 이동을 하면서 강제로 메타세쿼이아 숲길을 걷게 되었다. 주변에 편의점 같은 곳이 없고 날씨가 꽤나 더웠던 한 여름에 이 길을 걷다보니 아름답다는 숲길을 즐길 경황이 전혀 없었는데, 책에서 이 길에 대한 소개를 읽어보니 즐길 수 있을 때 즐길면서 걸을 것이라는 후회가 아주 약간 밀려왔다.

2. 명륜동 서울 성곽 길

서울 성곽 길은 이성계가 조선을 개국하고 한양에 도읍을 정한 뒤 둘레에 약 18km의 성곽을 쌓은 것을 산책로로 만든 것이다. 북악산, 인왕산, 남산, 낙산의 능선을 잇는 성곽과 성문은 일제강점기에 훼손 되어 일부만 남았으나 이후 일부 구간 보수하여 성곽길을 따라 걸을 수 있게 했다. 책에서는 와룡공원에서 시작하여 종로에 있는 창의문까지의 길을 소개해주었으나 내가 제일 많이 걸었던 길은 동대문역 흥인지문공원에서부터 혜화문까지의 길이었다. 아무래도 공연을 보러 혜화역 근처에 워낙 많이 찾아갔던 것도 있고, 일부러 동대문역에서 내려 혜화역까지 걸어가면 사진을 찍었던 날도 부지기수였다. 게다가 낙산공원 근처 이화마을은 벽화때문에 서울 시내에서 꽤 유명한 출사지이다. 주말이면 출사를 온 사람을 꽤 많이 만날 수 있다. 서울 성곽과 관련해서는 '서울 성곽길 북한산 둘레길'이라는 책을 추천하고 싶다.

3. 수원 화성 성곽길

수원 화성의 성곽길은 한국의 성곽건축사상 가장 독보적으로 평가받고있으며 1997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으로 지정된 수원 화성을 돌아보며 우리문화의 우수성을 느낄 수 있는 역사·사적길이라고 소개되어 있다. 수원 화성은 조선의 22대 왕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를 수원으로 옮기면서 축성이 되었으며, 이후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수도 남쪽의 수원을 방어기지로 삼기위해 성곽이 건축되었다. 조선시대 몇 안되는 계획 신도시기이 때문에 성곽 축성술, 화강성과 벽돌로 성을 쌓은 전석교축, 목재와 벽돌의 조화로운 사용, 당시 신기술이었던 거중기, 활차 등의 근대적 기기의 발명과 사용, 예술적인 아름다움까지 인정을 받았기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이 되었다. 문제는 내가 수원 화성에 여행을 갔을 때, 태풍의 영향으로 비바람이 엄청나게 많이 불었다는 것이다. 화성 성곽길을 걷던 와중에 비가 와서 나는 신발과 양말이 젖어버렸으며, 친구의 신발은 찢어지는 일로 인하여 제대로 된 성곽탐험을 할 수 없었다. 비가 오지 않을 때, 수원으로 여행으로 가서 멀쩡한 상태로 화성 성곽길 산책과 함께 화성 행궁 야간개장과 함께 플라잉 수원을 타고 야경까지 볼 예정이다.

4. 안양 예술공원

안양 예술공원은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에 있는 공원이다. 이전에는 안양유원지라는 이름으로 불렸는데, 1960년대 이미 수영장을 비롯한 오락시설과 함께 여행객의 증가와 무질서하게 형성된 음식점으로 인하여 자연환경이 훼손되어 오랜기간 명맥만 유지하고 있었다. 2005년부터 안양시에서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라는 이름으로 문화공간 조성사업을 진행하며 안양유원지에 인공폭포, 야외무대, 전시관, 광장, 산책로, 조명시설 등을 설치하고 공원 내에 국내외 유명작가의 예술작품 52점을 설치한 이후 이름을 안양 예술공원으로 바꾸었다. 안양 예술공원은 내가 가고싶어서 간 곳이 아니라 대학교를 다닐 때 교양수업에서 주말에 강제로 야외수업을 진행한 후 보고서 제출을 해야만 했기에 강제로 가게 된 곳이다. 딱히 좋은 기억도 나쁜 기억도 없으며, 그저 보고서 제출을 위해 사진을 열심히 찍었던 기억만이 날 뿐이다. 안양 예술공원 내에 다양한 예술작품에 대한 소개는 청년도시기획가 안양다움 채진기 블로그 내 안양여행 프로젝트 포스팅(해당 URL https://c11.kr/1bqtu)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5. 전주 한옥 마을

내가 블로그에 소개할 수 있는 길 중에서 유일하게 서울 및 수도권이 아닌 곳에 위치한 전주 한옥마을이다. 책에서는 경기전부터 고사동 영화의 거리까지 총 5.5km의 길을 소개하였는데 내가 갔던 곳은 전주 내 한옥마을만을 걸었던 기억이 있다. 전주 한옥마을의 경우 전주포토페스티벌 참여를 위해 2번 정도 방문한 기억이 있다. 지인의 사진전시 관람 겸 일을 해야했기에 사실 전주 한옥마을 내부 관람보다는 지인의 사진전 방문과 사진가와 함께 대화를 나누었던 기억밖에 없다. 본가가 전주이기 때문에 전주에 갈 일은 많았으나 전주 한옥마을에서 무언가를 할 생각은 전혀 못 하고 있었다. 다시 방문할 기회가 된다면 책에서 소개된 길을 한 번 걸어봐야겠다는 생각을 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