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밸리의 실험실 - 하버드 경영대학원 교수가 찾은 최고 기업들의 혁신 비결
스테판 H. 톰키 지음, 안진환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실리콘밸리는 미국의 캘리포니아주(州) 샌프란시스코만(灣)을 둘러싼 샌프란시스코반도 초입에 위치하는 샌타클래라 일대의 첨단기술 연구단지이다. 반도체 및 IT기업 대부분이 몰려있으며 이 중에는 구글, 애플, 페이스북 등 글로벌 기업도 포진해있어 실리콘밸리 자체가 IT와 첨단산업으로 혁신을 일으키는 곳의 대명사가 되었다. 실리콘밸리의 실험실은 실리콘밸리에서 성공한 기업이 어떻게 혁신을 일으키고 살아남을 수 있었는가에 대해 분석해둔 책이다. 스테판 H. 통키가 이전에 쓴 책은 '실험의 중요성'인데 해당 책에서는 디지털 실험 툴이 기업의 연구와 개발을 혁명적으로 바꾸고 산업 전반에 변혁을 가지고 올 것이라고 하였다. '실리콘밸리의 실험실'은 전작에 이어서 보다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한다고 생각한다.

  1. 실험은 테스트 가능한 가설을 토대로 하는가?

  2. 실험 결과가 어떻게 나오든 그에 따르겠다는 약속이 되어 있는가?

  3. 조직이 이 실험을 진행할 수 있는가?

  4.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가?

  5. 원인과 결과를 이해하는가? > 종속변수(결과)와 독립변수(원인)이 확인되었는가?

  6. 실험으로 최대한의 가치를 도출했는가?

  7. 조직 차원에서 실제로 실험 결과에 따른 결정을 내리고 있는가?

책에서는 위의 기본적인 7가지 툴을 토대로 개념을 정리해간다. 너무 복잡하여 원인과 결과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실험 대신 조직 내에서 가능하고 원인과 결과를 빠르게 파악 가능한 작은 실험 여러 개를 빠르게 진행하는 것이 조직의 혁신을 위해 제일 좋다고 제안한다. 실험 결과를 조직에서 받아들일 경우에는!

CEO나 대표의 의견이라고 할 지라도 실험을 통해 해당 의견이 긍정적인 평가를 얻어야지만 사업이 진행가능하다는 사례는 꽤 흥미로웠고 실험이 실패로 끝났을 경우, 누군가에게 책임을 묻지 않고 실패로 새로운 교훈을 얻었음을 배우는 과정임을 조직에서 받아들여야 성공적인 실험이 존재한다는 사례에서는 '한 번 실패는 영원한 실패'로 받아들이지 않아야 함을 배웠다. 실리콘밸리가 혁신적이라고 평가받는 이유는 기술적인 우월함도 있겠지만 실험과 실패로부터 배우며 성공을 조직적으로 받아들이며 평등한 원칙 아래서 조직이 행동하기 때문에 가능한 부분이 아닐까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