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각자의 세계가 된다 - 뇌과학과 신경과학이 밝혀낸 생후배선의 비밀
데이비드 이글먼 지음, 김승욱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뇌과학이나 신경과학에 관심이 크게 없었던 터라 우리는 각자의 세계가 된다를 읽기 전까지 책 자체에 크게 흥미를 느끼지 못 하고 있었다.책을 펼쳐 읽으면서 '어라?! 이거 되게 신기하고 재미있는데?'라는 생각이 든 것은 뇌과학과 신경과학 자체에 내가 흥미를 느껴서라기보다는 시신경이나 청력의 상실로 감각기관이 손상되어 장애가 생긴 사람을 위한 보조기기가 뇌신경을 자극하여 새로운 방법으로 '보고', '들을 수' 있게되었다는 부분이 매우 흥미롭고 신기하였기 때문이다. 촉각을 이용하여 세상을 보거나 인공와우 수술을 통해 그저 보조기구가 아닌 뇌 자체의 신경을 사용할 수 있게끔 만드는 것은 상당히 신기했다. 물론 이런 기술이 장애를 부정하거나 치료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은 전혀 아니지만 장애로 인한 불편함은 상당부분 줄여줄 수 있을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뇌'라는 것이 존재하는 인간동물과 비인간동물은 환경에 따라 새로운 것을 배우고 그에 따라 뇌를 통과하는 신경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런 변화로 인해 우리는 진화하고 세상을 더 나은 방향으로 존재하게끔 만드는 것이다. 뇌를 발전시켜 자기계발을 한다는 단순함이 아니다. 당연히 환경에 따라 뇌는 변화하고 그로인하여 우리는 자기계발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우리라는 존재가 하나의 방향으로 나가는 똑같은 존재가 아닌 '각자의 세계'가 될 수 있는 이유는 상호작용하는 사람이 누구인가, 내가 어떤 환경에서 자라나는가, 주로 사용하는 것이 디지털인가 아날로그인가에 따라서 우리의 뇌가 다르게 작용하고 그에따라 신경이 달라지기 때문에 세상에서 유일한 존재로 살아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삶을 바꾸기 위해서는 살아가는 방식 자체를 바꾸어야 하는 것이며 이는 기계나 컴퓨터처럼 단순히 프로그램을 바꾸는 것 만으로는 해결이 되지 않는 부분이다. 자기계발을 하기 위해서는 세상을 보는 방식 자체가 새로워져야만 한다. 그리고 이 방식은 우리의 나이가 어릴수록 더 쉽게 바뀔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