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립의 시대 - 초연결 세계에 격리된 우리들
노리나 허츠 지음, 홍정인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1세기. 일상생활에 정보기술이 깊숙이 들어오면서 모든 것이 거미줄처럼 인간과 연결되어 있으며 페이스북과 트위터를 시작으로 인스타그램과 틱톡의 붐을 따라 SNS을 타고 초연결사회가 되었지만 인간을 더 외로워지고 고립된 삶을 살게 되었다. OECD에서 나온 2020년 자살률은 인구 10만명당 12.1명(한국포함, OECD 자살률 통계 중 2020년 기록이 있는 17개국의 평균 지표)의 사람이 사망하였으며 한국은 2020년 인구 10만명당 자살률 24.1명, 2021년 인구 10만명당 26명의 사람이 자살을 하였으며 이는 OECD 가입국 1위라는 기록을 한국 스스로에게 선물하였다. 코로나로 인한 우울증이 전세계를 뒤덮고 있다지만 사실 이런 고립으로 인한 우울증과 소외된 느낌, 자살률 증가는 비단 코로나 블루 때문만은 아니다. 고립의 시대에 나온 연구 결과와 통계에 의하며 이미 코로나 이전부터 전세계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고 느끼지 못 하고, 스스로를 고립시켰으며, 외로운 존재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사람이 많은 대도시일수록 소외감이 더욱 심해졌다. 대도시에 살 수록 사람이 너무 많은 삶에 찌들어져 나를 위한 공간이 없어진 것이 오히려 서로를 소외시키고 의도적으로 외부의 연결을 끊는 삶으로 발전하였다. 일부러 외부의 연결을 끊었음에도 외로운 것이 싫은 인간은 SNS라는 가상공간에서 사람과 소통을 하기 시작했지만 이는 오히려 스스로를 더 고립시키고 단절시키는 악순환이 생겼으며, '컴퓨터를 통해 가상으로 보정된 얼굴'을 현실화 시키기 위해 성형외과를 찾게 되었다. 코로나가 그나마 이어져있던 작은 연결을 완전히 단절시키는 하나의 촉매제가 되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인간이 스스로를 고립시키는 삶을 선택한 것은 코로나 때문만은 아니다.

인간은 서로 연결되고 싶고 외로움을 못 견뎌하는 습성을 타고났지만, 자신만의 시간과 공간이 중요한 이중적인 삶을 추구하고 있다. 나의 삶과 시간과 공간이 중요하지만 어떤 부분에서만큼은 다른 사람과 연결되고 싶은 욕구때문에 오프라인과 온라인의 자아가 분열된 사람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는 느낌이었다. 오프라인에서 사람과 접촉하고 의견을 나누는 삶이 피곤하다는 이유로 온라인으로 들어가 자신과 생각이 똑같은 것만 추구하는 삶을 살게된 사람이 늘어나고 이는 정치적 극단주의를 포함하고 모든 이념의 양극화 되는 성향이 나타나고 결국에는 '내'가 아닌 다른 모든 사람을 차별하는 행위만 남게 된다. 4주 동안 케이지 안에 혼자 머물러 있다가 새로운 생명이 등장하자 공격을 하였던 생쥐처럼, 고립된 인간은 나를 제외한 다른 모든 사람을 공격하는 성향만이 남아있게 된다. 단순하게 연결시키기는 어렵지만 미국에서는 2010년 총기 사건으로 죽은 19세 미만 아동 · 청소년은 3.3명이었지만, 2020년 그 숫자는 5.4명으로 늘어났다.(출처 : https://c11.kr/18f9q) AFP통신은 총기 사고가 줄어들지 않는 데는 법적 규제의 부재가 크다고 분석하였지만, 과연 그 이유 하나일까?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하여 아동과 청소년의 언어 발달이 지연되고 공감능력이나 감정파악을 못 하게 된다는 기사가 자주 올라오는 것을 볼 때, 총기 사건으로 청소년이 죽는 이유는 서로에 대한 공감능력은 감소하고 악만 남았기 때문이 아닐까 조심스럽게 추측해본다.

위기는 코로나로 인한 팬데믹이나 경제 위축이 아니다. 진정한 위기는 우리가 서로 멀어지고 고립된 삶을 살게 되는 것이 위기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