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도시가 된다 위대한 도시들 1
N. K. 제미신 지음, 박슬라 옮김 / 황금가지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N. K. 제미신의 신간이 나왔다. N. K. 제미신의 새로운 판타지 2부작 ‘위대한 도시들' 시리즈는 일종의 어반 판타지(도시 판타지)인데 현실에 존재하는 공간 및 설정을 배경으로 삼는 판타지 소설로 완전한 허구의 세계관을 만들어 배경으로 삼는 하이 판타지였던 전작 '부서진 대지'과 다른 매력이 있는 판타지 소설이다. ‘위대한 도시들' 시리즈는 대도시에는 생명이 있고 도시를 지키는 신이 존재한다는 설정을 바탕으로 하였다. 주배경이 되는 도시가 뉴욕이 된 이유는 N. K. 제미신이 제일 잘 아는 지역이 뉴욕이기도 하겠지만 뉴욕에는 다양한 인종, 계층, 성적지향점, 삶의 배경 등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복합적으로 모여있는 도시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한국, 일본, 중국처럼 아시아 지역에 있는 도시였다면 이렇게 다양한 인종이 등장하기 어려웠을 것 같다.

위대한 도시들 시리즈의 문을 여는 '우리는 도시가 된다'를 읽으며 흑인, 네이티브 아메리칸(미국 원주민), 아시아인, 혼혈은 물론 타지역에서 왔지만 온전히 뉴욕같은 사람이 도시를 지키는 신으로 선택되어지는 과정이 특별하다고 생각했다. 도시와 연결되어있고 특정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사람은 굳이 그 도시나 그 지역에서 태어난 사람이 아닐 수 있다는 설정은 뉴욕이라는 지역이 가진 특이성과 특수성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 다양성을 가진 세계이며 도시이기 때문에 가능한 부분 같았다. 게다가 그 누구도 백인이 아니고 그 누구도 이성애자로 설정하지 않았다는 점은 N. K. 제미신이 가지고 있는 뉴욕이라는 이미지에 대해서 생각해볼 수 있었다. N. K. 제미신은 뉴욕은 백인의 도시가 아니고 뉴욕은 이성애자의 도시가 아닌 뉴욕이라는 지역 자체가 전인류적이고 그 누구에게도 폐쇄적이지 않은 도시라고 생각하는 것 같았다. 아시아인 남성이라는 설정을 가진 홍콩의 화신이나 역시 남성(인종 및 성정체성 모름)으로 설정된 상파울로의 화신과는 다르게 뉴욕의 지역적 특성은 다양성이 있으며 뉴욕의 화신 역시 흑인 여성의 모습을 하고 있었다.

'적'으로 나타난 모습은 정말 혐오로 뭉쳐있는 사람이었는데, 그 모습은 마치 '자신이 남성으로 태어나서 피해를 입는다.'고 주장하는 남성연대나 차별과 편견으로 사람을 대하는 누군가의 모습과 닮아있어서 소름이 돋았다. 아마 N. K. 제미신 역시 평소에 이런 사람을 많이 만나왔고 타인에 대한 차별과 편견을 가진 사람이 다양성을 죽이며 다양성이 죽은 뉴욕은 살아있는 뉴욕이 아니라고 생각했기에 이런 설정을 넣은 것일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N. K. 제미신의 전작 부서진 대지 시리즈를 읽을 때도 마찬가지 였지만 이 작가는 일상적으로 표현되는 혐오와 차별을 아주 잘 잡아서 소설에 녹여내는 재능이 있다. 그 일상적인 혐오와 차별표현을 자주 만나왔기에 어떤 마음으로 N. K. 제미신이 이런 묘사를 소설에 녹이는지 공감한다.

실제 책의 내용과는 별개로 책을 읽으면서 서울이라는 도시에 화신이 나타난다면, 각 지역을 대표하는 신이 있다면 어떤 사람일지 상상해보았다. 뉴욕의 브루클린, 퀸즈, 저지시티, 맨해튼, 스태튼아일랜드, 브롱크스처럼 서울을 지역으로 나눈다면 한국에서 나눈 지자체로 나뉠지 아니면 홍대나 종로, 강남, 여의도 같은 특정 지역으로 나뉠지 잘 모르겠다. 각 자치구의 화신에게 등을 돌린 스태튼 아일랜드같은 곳은 아마 여의도가 되지 않을까 싶고 맨해튼 같은 곳은 강남이 브루클린은 홍대가 되지 않을까 싶다. 여의도를 대표하는 화신은 국회위원 아니면 상당히 이중적인 성격이 있는 정치인, 홍대라면 예술가, 종로라면 길에서 생활하는 누군가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