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
심채경 지음 / 문학동네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구에서 보는 별은 아주 작은 빛이야. 그건 지구에서 멀리 있기 때문이겠지. 별빛은 옛날 거군. 우주가 아주 먼 것 같은데 꼭 그렇지도 않아. 우리가 사는 지구도 우주 한부분일 거야. 사람이 보기에 지구는 크지만 우주에서 지구를 바라보면 작겠지. 그 작은 지구 안에 사는 사람은 또 얼마나 작을까. 사람은 가끔 우주를 생각해야 겸손해질 것 같아. 나도 우주 아주 가끔만 생각해. 밤하늘을 자주 올려다 보지도 않고. 별이라도 보이면 볼 맛이 날 텐데, 예전보다 별이 잘 보이지 않아. 그렇다고 아주 안 보이는 것도 아니야. 어쩌면 내가 본 건 별이 아니고 지구에서 쏘아올린 위성일지도 모르겠어. 깜박이는 게 보이기도 해. 별도 깜박이려나. 천문, 잘 몰라. 별을 말하는 책도 그렇게 많이 안 봤어. 봐도 시간이 가면 잊어버려.

 

 이 책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는 제목 봤을 때 한번 보고 싶다 생각했는데, 이렇게 봤군. 천문학자 하면 별 많이 볼 것 같은데 그렇지 않다니. 이런 말 처음 본 건 아니군. 별보기를 좋아해서 천문학과에 들어간 사람은 수학이 아주 어려웠다고 하더군. 이 책을 쓴 심채경은 고등학생 때 지구과학 선생님이 칠판에 점을 찍고 연주 시차를 말하는 모습이 무척 즐거워 보여서 천문학을 공부하기로 했대. 대학에 가고 목성 위성 타이탄을 연구했어. 대학원생 때였던가. 실제 별을 본 건 얼마 안 되고 망원경이 찍은 걸 보고 여러 자료를 본대. 미국에 있는 망원경이 찍은 걸 봐서 밤을 새우지 않아도 된다고 하더군. 지금은 달 과학을 한대. 이런 말 봐도 자세한 건 나도 잘 모르겠어. 보통사람은 거의 그렇겠지. 우주 과학자는 좀 쓸쓸하겠어. 그래도 우주 과학자끼리는 서로 알겠어.

 

 하늘을 올려다 본 건 사람만이 아닐지도 모르겠어. 인류가 없었을 때 공룡도 밤하늘을 보고 별을 봤겠지. 공룡은 별을 보고 어떤 생각을 했을까. 고대 사람은 밤하늘을 보고 별자리를 만들고 이야기를 지어내기도 했군. 옛날에는 볼 만한 게 없어서 별을 봤으려나. 갑자기 그런 생각이 들기도 하는군. 지금은 잘 보이지 않기도 하고 별이 아니어도 볼 건 많고, 이야기도 많아. 그래도 우주에 관심 갖는 사람 많겠지. 외계인이 있을지 없을지도 생각하잖아. 여러 나라 인삿말을 담은 레코드를 저 우주로 날려 보내기도 했군. 거기에는 말뿐 아니라 노래도 넣었지. 그거 좀 더 나중에 보냈다면 비틀즈와 나란히 BTS 음악도 들어갔을지도 모를 텐데. BTS 잘 모르지만 세계 사람이 알기도 하잖아. 어쩐지 나보다 다른 나라 사람이 BTS를 더 잘 알 것 같군.

 

 우주와 BTS는 무슨 상관이 있느냐고. 심채경이 쓴 글에 나왔어. 우주에 가는 사람이 들을 만한 노래에 BTS 노래도 넣었다잖아. <소우주> <134340> <문차일드> 이 세곡은 우주를 노래한다더군(콜드 플레이와 한 노래도 우주가 나오는 것 같던데, 노랫말은 잘 모르지만). 숫자 ‘134340’은 행성에서 왜소행성이 된 명왕성 번호야. 언젠가 명왕성 이야기 많이 나왔을지도 모를 텐데, 난 잘 몰랐어. 별이름은 다 사람이 지었군. 은하도 다르지 않지. 몇십억 년 뒤에는 우리 은하와 안드로메다 은하가 부딪친다더군. 그런 일 일어나도 괜찮을까. 그렇게 걱정할 일은 아닌가 봐. 그런 일이 일어나면 밤하늘에 별이 더 많이 보인대. 그때까지 지구나 인류가 있어야 할 텐데. 지금처럼 기후변화가 심하면 지구 얼마 못 갈지도 모르겠어. 아니 지구보다 인류인가.

 

 수학이나 과학은 동양에도 있었는데 지금은 서양 것만 쳐주는군. 천문학도 다르지 않은 것 같아. 고려나 조선시대에는 천문을 기록해 두었는데. 그러고 보니 이건 처음 안 건 아니군. 그렇다 해도 잘 알지는 못해. 옛날에 별을 보고 기록했다는 것만 알뿐이야. 어느 나라나 그랬겠군. 망원경을 만들고는 별을 더 잘 보게 됐겠지. 고대 사람은 지구를 중심으로 생각했는데, 그걸 이상하게 여긴 사람도 있더군. 그건 당연한 건가. 태양계는 지구 중심이 아니지. 사람을 중심으로 생각하지 않아야 하는 것도 떠오르는군. 옛날보다 과학이 발달해서 별을 잘 볼 수 있어. 달에 다시 가려고도 하는가 봐. 달에는 예전에 한번 가고 안 가다니. 인류가 가려고 하는 곳에 화성도 있군. 거기에는 언제쯤 갈까. 정말 화성에 가서 살 사람 있을지. 내가 살았을 때 그런 일이 일어날지 더 나중에 일어날지. 별 생각을 다했네.

 

 

 

희선

 

 

 

 

 

 

 

 

 

조선 천문과학(2021. 4. 21.)

일성정시의, 측우기, 자격루, 앙부일구

 

 

 

 

 

천상열차분야지도(2022. 6. 14.)

이 우표는 2022년 6월에 나옵니다. 천상열차분야지도는 고구려 때 만들어진 거였군요.

 

https://stamp.epost.go.kr/

 

 

 

 

소우주 (Mikrokosmos) - BTS (방탄소년단)

https://youtu.be/Iq6RdCTLBd8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파랑 2022-03-23 08:05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작가는 소설을 보지 않는다‘ 같은 거군요 ㅋ 우주는 언제나 궁금증의 대상인거 같아요 ㅋ 저도 화성에 가보고 싶습니다 ^^

희선 2022-03-26 23:30   좋아요 2 | URL
다른 작가 책 보는 사람이 더 많겠지만, 작가가 되고는 다른 사람 책은 잘 안 본다는 사람 있기도 하더군요 화성 괜찮을까요


희선

바람돌이 2022-03-23 11:12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천상열차분야지도 우표 굉장히 멋잇네요. 이 책은 저도 보고싶다고 생각은 늘 하는데 왠지 자꾸 밀리네요. ㅎㅎ

희선 2022-03-26 23:31   좋아요 1 | URL
장수가 적어서 천원인가 하는 생각이 잠깐 들었습니다 지금 보통우표는 430원이에요 천원짜리는 등기 보낼 때 쓰면 괜찮겠습니다 언젠가 이 책 보시겠지요


희선

페넬로페 2022-03-23 18:1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학교 다닐때 과학 수업에서, 지금 우리가 보고 있는 별이 아주 오래전의 것이라는 사실을 배웠는데 저는 아직도 실감을 잘 못해요. 저한텐 우주나 물리가 참 어렵고도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거든요.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는 것이 아이러니하고 더 궁금합니다
희선님은 편지 좋아하시니 우표에도 관심이 많으시겠어요. 요즘은 우체국가면 그냥 스티커로 붙여 주더라고요 ㅎㅎ

희선 2022-03-26 23:35   좋아요 2 | URL
별이 아주 멀리 있으니 지금 바로 보는 건 별로 없을지도 모르겠습니다 그 빛이 사라지지 않고 지금도 온다니 신기합니다 빛이 빠르다 해도 별빛은 오랜 시간을 달려오네요 별을 좋아해서 천문학을 공부한 사람도 있을 듯합니다 쉽지 않을 듯해요 물리와 수학을 잘해야 하니...

우표는 큰 우체국에 가야 있어요 예전보다 우표가 덜 나와서 그렇게 됐나 봅니다 그래도 아주 안 나오지 않아서 괜찮습니다 우표를 보고 여러 가지 알기도 해요


희선

서니데이 2022-03-23 22:4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연주시차 전에 학교에서 배웠을텐데, 이제는 많이 잊어버려서 설명할 만큼 기억하지 못할거예요.
이런 우표들은 기념우표라서 쓰기는 너무 아까울 것 같아요.
희선님, 사진 잘 봤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희선 2022-03-26 23:39   좋아요 2 | URL
저도 들은 적 있을 텐데 그런 건 다 잊어버렸네요 이걸 전문으로 하는 사람은 그러지 않겠습니다 아이들을 가르치는 선생님도 마찬가지일 듯합니다 기념우표 편지 쓰려고 사는데 빨리 못 쓰기도 하네요

서니데이 님 주말 편안하게 보내세요


희선

mini74 2022-03-24 18:3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내가 보는 별이 어쩌면 이미 사라진 별의 마지막 불꽃이라 생각하면 참 쓸쓸해집니다 표지가 더 예쁘게 바뀐듯 합니다 ㅎㅎ

희선 2022-03-26 23:41   좋아요 1 | URL
어쩌면 사람이 사는 시간보다 별빛이 더 오래 갈지도 모르겠네요 옛날 별빛이 아직도 남아 있으니... 우주를 생각하면 사람은 아주 작습니다


희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