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간해킹 - 심리검사 개발자가 집필한 인간관계 기본서
손상윤 지음 / 바른북스 / 2025년 1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어렸을 때부터 '착한 사람 콤플렉스' 같은 게 있었다. 하지만 나이가 들수록 오히려 내 발목을 잡거나 뒤통수를 맞게 되는 원인이 되곤 했다. 그래서 어느 순간 '거절하기 연습', '거리 두기 연습' 등을 통해 그런 일들을 줄여갔다. '관계 중독'으로 인한 스트레스도 위의 일정 방법들을 통해 해결을 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여전히 사람들과의 관계는 종종 내 스트레스 지수를 높이게 됐다. 이 책은 그런 나를 '인간관계 해킹공식'이라는 표지의 문구로 날 이끌었다.
책은 '심리요소란', '정서민감성', '협조성/준거성', '적응지향성/결정지향성', '타인 애착 모델', '외향성 심리 모델', '내향성 심리 모델', '개방성 심리 모델', '결정과 실행 심리 모델', '인간해킹 메커니즘'으로 챕터 0부터 9까지로 구분된다.
챕터 0은 심리요소가 무엇인지에 대해 다루며 왜 그걸 알아야 인간해킹이 가능한지 간단히 다룬다. 챕터 01에서는 정서적으로 민감한 심리 요소들에 대해 알아보게 된다. 책 제목처럼 인간 해킹으로 보면 이용하려는 듯한 뤼앙스가 있으나 그들과의 관계 개선을 위한 내용들을 잘 보여준다. 일단 각각의 심리 요소를 먼저 제대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 듯하다. 잘못된 판단은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심약함, 우울, 불안, 과잉행동, 충동성은 내 주변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고 나 역시 어느 정도 해당하는 내용들이었기에 흥미롭게 읽게 됐다.
앞선 챕터 01에서 각각의 심리 요소에 따른 전략들이 나왔다면 챕터 02에서는 전반적인 협조성/준거성에 따른 분류를 먼저 하고 뒷부분에서 여덟 가지 성향에 따른 맞춤형 전략을 전달한다. 이 부분을 읽으며 내 성향이 조금씩 복합적으로 포함이 되어 있음을 확인한다. 뭐 그래도 현재는 준거성 부분이 보다 크다는 것도 확인한다. 어느 순간 룰을 지키지 않거나 타인에 대한 배려가 없는 이들에게 냉랭해지는 내 모습이 떠오른다.
챕터 03을 읽으면서 적응지향성이라 생각했으나 상황이나 자리에 따라 결정지향성을 띤다는 것도 확인한다. 명확하게 한 가지 성향의 사람이 과연 있을까 싶기도 하지만 각각의 자리에서 효율적인 것을 찾기에 그런 게 아닌가도 생각된다. 어느 정도 열려 있지만 효율성을 추구하다 보면 또 폐쇄성을 띠게 되는 게 아닌지...
챕터 04에서는 타인 애착 모델로 불안의존형, 회피독립형, 혼란형을 다룬다. 세 가지의 애착 모델에 대해 읽으며 처음과 두 번째 애착 모델이 어느 정도씩 걸쳐 있었다. 결국 나는 혼란형의 스타일로 어느 정도 맞춤형 전략을 스스로에게 적용하고 있는 듯했다.
챕터 05에서는 외향성을 중심으로 변화 추구자, 실용 추구자, 사교적 협력, 결단과 행동, 활동과 체험 심리 모델을 다룬다. 어떻게 보면 변화 추구자적인 성향이지만 그동안 살아오며 다양한 외향성의 시기를 보여왔던 것 같다는 생각도 하게 된다. 먹고살거나 자리가 사람을 만드는 시기에 해당 가면을 쓰고 있었던 것은 아니었는지도 돌아보게 한다.
그 후 챕터 06~08까지에서도 해당 챕터에 나를 적용해서 읽게 된다. '내 속엔 내가 너무 많아'라는 <가시나무> 노랫말도 떠오른다.
마지막 챕터에서는 앞선 심리 모델들에 따른 인간 해킹이 아닌 '인간해킹 메커니즘' 자체에 대해 전반적으로 전달하고자 한다. 내가 걱정하는 복합적인 부분들에 대해서도 메커니즘이 있으니 책을 통해 잘 파악을 해보면 좋을 듯하다. 일단은 자신에게 먼저 적용을 해보는 게 좋을 것 같고, 주변 사람들에게 테스트를 하며 기본기를 다져가야 하지 않을까 싶다.
책을 읽는 사람에 따라 활용도가 달라질 책이 아닌가 싶다. 보다 효율적으로 인간관계를 갖는데 활용할 수도 있고, 책 제목처럼 사람을 자신의 뜻대로 컨트롤 하려는 이들에게는 조금은 위험할 수도 있는 책이 아닐까 싶다. 인간 관계가 어려운 이들이나 자신의 성향을 변화 시키고자 하는 이들이 읽어보면 좋을 책이라 전하며 리뷰를 줄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