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페이지 표의 힘 - 누락 없이, 중복 없이 모든 일을 정리하는 도구 심플리어 2
이케다 마사토 지음, 김은혜 옮김 / 21세기북스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이 세상 모든 일은 한 페이지 표로 정리할 수 있다!'라는 띠지의 문구가 눈에 들었다. 표를 그릴 일과 거리가 있는 업무를 주로 했기에 엑셀은 이상하게 늘지 않았다. 분명 편리한 도구라는 것은 알겠고, 기본적인 기능을 조금씩 익혀 나가지만 큰 응용은 하지 못하는 내게 다른 세상의 이야기 같았다. 뭐 결론적으로 엑셀이 주는 아니었지만...

  손정의 사장에 대해 다른 책들에서 종종 접했으나 그분과 함께 일하며 영향을 받고 자신만의 노하우를 만든 저자의 책은 분명 배울 것이 있을 듯했다. '누락 없이, 중복 없이 모든 일을 정리하는 도구' 표로 일을 하는 스타일은 아니지만 일을 할 때는 나름의 계획을 세워 움직이는 편이기에 배워두면 유용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책은 '표로 생각하기', '표로 설명하기 · 의논하기', '표로 결과를 내다', '표로 사람을 움직인다', '표로 인생을 움직인다' 총 5장으로 구성된다.

  표로 생각하는 게 어떤 것인지 개념이 없었는데 1장을 읽어가며 5W1H 표라는 게 별것 없어 보였으나 그건 2차원적인 생각이 익숙한 내 오류였다. 얼마나 많은 것들이 그곳에서 가지를 쳐서 나올 수 있는지는 1장을 읽어가며 확인하게 된다. 내가 일하는 방식과 다르기에 새로운 업무 방법이라 계속해서 몰입하게 하는 즐거움이 있다.

  2장을 읽으면 표를 통해 어떻게 지시한 이들에게 설명하고, 협업을 요하는 이들과 논의를 할 수 있는지 보게 된다. 확정되지 않아도 최대한 구체적으로 써야 하는 이유는 모호함보다 확실한 일시에 대한 피드백을 얻을 수 있음도 다시 확인한다. 과거 마케팅 회사에서의 내 콘텐츠 업무는 플랜이 있을 때 더 효율적으로 행동했던 것 같다. 지금도 블로그에 책과 관련된 글을 마무리할 때 최소한 마감일자는 스케줄에 잡아놔야 보다 효율적이 되는 것처럼. 표로 설명을 하는 부분에서 효과분석표는 확실히 업무 피드백을 가시화 시키는 내용이 아닐지...

  3장을 읽으며 2장의 내용도 연결이 된다. 상사를 아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일을 할 때 지시를 하는 이도 이 부분을 파악하고 업무 지시를 내리게 되겠으나 지시를 받는 이가 상사에 대해 정확히 아는 일은 보다 효율적으로 일을 할 수 있다. 물론, 일을 하는 사람도 모호하게 행동한다면 서로 간의 의사 차는 일을 더디게 만들고 결과도 엉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4장을 읽으며 표로 이런 것도 가능할까? 싶지만 과거 마케팅 회사에서 처음 일을 했을 때 특별한 지시사항 없이 주관적인 업무로 앞서갔던 일을 떠올리게 된다. '가위바위보 이론'은 그동안 생각을 해보지 않았던 내용이라 앞으로의 주위의 일에 적용을 하면 좋을 듯하다. '한 페이지 표'가 기획과 아이디어를 어떻게 형태화 시키는지도 가시화되어 있었다.

  마지막 장을 읽으며 내가 가장 자발적으로 일을 했던 때를 떠올린다. 분명 당시에는 좋아하는 일이었기에 급여도 없이 이런저런 도전을 많이 했던 기억이 난다. 물론, 희망고문과 열정페이에서 실질적인 급여 받게 되니 오히려 관계가 재정립되면서 일은 틀어지게 됐지만... 나이가 들수록 잘못 살았나?라는 생각이 들 때가 많으나 한편으로는 그렇게 살았기에 지금 정도가 아닌가 싶기도 하다. 이제는 보다 명확한 삶의 목표가 있어야 그에 맞는 표를 만들어가며 보다 나아질 수 있지 않을까?


  기존에 익숙하지 않은 표가 정말 다양하게 활용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처음 표와 엑셀을 동의어라 생각했는데 그거와 다른 부분이었기에 한 페이지 표가 어떻게 힘을 발휘하는지 배울 수 있던 시간이다. 2차원적인 생각의 벽이 있는 이들이나 정리가 어려운 이들이 꼭 읽어보면 좋을 책이라 전하며 리뷰를 줄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