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5 신춘문예 당선시집
안수현 외 지음 / 문학마을 / 2025년 1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신춘문예 당선시집이 문단에 좋지 않은 이유로 새로운 출판사에서 나오게 되고 처음 읽게 되는 시집. 과거 내가 대학시절부터 읽어왔던 당선시집과 판형도 기존과 다르게 간소해지고 수록 시들의 작품 수도 줄어들었으나 오히려 휴대하며 읽기 좋은 사이즈라 마음에 들었다.
지난 연말 신춘문예 공모 마감 시기 때 나도 오랜만에 응모를 하려는 마음은 있었으나 마땅히 써둔 시가 없어 그냥 지나쳤다. 작년은 내게도 여러 일들이 있었던 해라 써야 할 글들이 있었지만 초고만 완성되어 있을 뿐 여전히 정리가 되진 않았기에 더 도전하진 못했다.
수록된 시편들을 읽으며 지난해 돌아가신 아버지를 떠올리게 하는 시도 있었고, 그로 인해 습작을 하게 만드는 시도 있었다. 과거 신춘문예 스타일로 느껴지는 시들의 형태는 반가웠다. 또, 여전히 낯설지만 이제는 대세가 되어버린 산문시 스타일의 시편들을 읽으며 이제는 쓸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게 한다. 물론, 괜히 등단한 게 아니기에 당선시집에 수록된 수준으로 쓰기에 내 글쓰기는 치열하지 않았음도 인정한다.
심사평을 읽으며 투고되는 작품들이 어떤 내용인지도 당선 작품과 수록된 시들에서도 충분히 만날 수 있었다. 심사위원들의 명단을 보며 시대가 많이 흐르긴 했음도 느껴진다. 여전히 신춘병에서 낫지 못한 것은 미련 때문일까? 과거 종종 함께 공부하던 이들의 이름도 만나곤 했는데 이제는 그들의 이름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과거 신춘문예로 등단한 선배와 지인들을 떠올리며 그들의 소식이 궁금해지기도 한다.
시조는 아직 한 번도 도전하지 않았던 분야라 시조를 써 보는 것에 도전을 해보는 것도 새로운 경험이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든다. 오히려 한 걸음 내딛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시를 공부하는 이들에게는 어떤 시들이 신춘문예에 당선을 하는지 스타일을 분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어떤 주제에 많은 이들이 관심을 갖고 시를 쓰고 있으며 심사위원들의 심사 기준도 대략적으로 파악하기 좋은 내용이었다.
어제가 입춘이었는데 한파에 놀라는 날, 초록의 표지 컬러처럼 어서 봄이 오기를 기다리는 가운데 기후 위기를 체감하며 만난 신춘문예 당선시집. 아직 신춘병을 앓는 이들이나 시를 쓰는 이들이라면 꼭 읽어봐야 할 책이라 전하며 리뷰를 줄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