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웃라이어 - 성공의 기회를 발견한 사람들
말콤 글래드웰 지음, 노정태 옮김, 최인철 감수 / 김영사 / 2009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오랜만에 경영서적을 손에 들었다. 아니 경영서라기보다는 심리학과 성공학이 접목되어있는 책이라는게 더 맞을지도 모른다. 그동안 티핑 포인트, 블링크와 같이 유명한 저자의 책들을 구매는 해놓았지만, 손에 들지 않았었는데, 아웃라이어는 무엇보다 노력이 천재를 만든다는 내용을 신문에서 미리 접하고, 책을 받자 마자 읽어내려 가기 시작했다. 지금 나에게 무엇보다 필요한 내용일거라 생각했으니까. 

1만 시간. 매일 3시간씩 투자해도 10년이 걸려야 만들어낼 수 있는 시간. 이만큼의 시간이 투자 되어야 우리는 아웃라이어가 될 수 있다고 저자는 이야기한다. 어찌보면 당연한 말이다. 그만큼 노력하는데 무엇인들 못하랴. 하지만, 저자는 그러한 시간이 단지 본인의 노력 뿐만이 아니라 주위의 도움이 있어야 만들어 질 수 있다고 이야기 한다. 마이크로소프트의 빌 게이츠, 함부르크에 간 비틀즈 모두 그들을 둘러싼 상황이 그들로 하여금 1만 시간이란 큰 투자가 가능하게끔 만들었다. 우리의 운명이 환경에 따라 완벽하게 좌우되지 않듯이, 본인의 노력 역시 모든 걸 바꾸진 않는다. 모든 요소들이 적재적소에서 역할을 제대로 해주어야 우리는 아웃라이어가 될 수 있다고 이 책은 이야기하고 있다. 

무엇보다 흥미로웠던 부분은 바로 아시아인들의 수학 실력 그리고 대한항공의 이야기였다. 모든 문화와 관습이 그렇듯 분명 우리나라의 교육제도에도 좋은 점과 나쁜 점이 있는데, 이 책에서 좋은 점을 뚜렷이 짚어주지 않았나 싶었다. 또한 간단하게 숫자를 기억하는 예제에서 아시아의 수체계가 영어권보다 적응하기 훨씬 쉽다는 것을 보여준 예제 역시 놀라웠다. 권위로 인한 커뮤니케이션의 문제로 항공사고가 많이 일어난다는 이야기는 실제 우리가 하는 일상생활에서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는 문제점이기에 많이 공감이 갔다. 

성공은 참 어렵다. 이 책을 1만시간이란 간단한 공식으로 이야기를 하지만 300쪽이 넘는 내용은 그 공식이 얼마나 성립하기 어려운지를 이야기한다. 우리가 지나칠 수 있는 사소한 습관, 문화 그리고 환경- 이 모든 것의 적절한 조합으로만 우리는 성공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 책의 이야기는 항상 게으름을 피우고 하루 3시간은 커녕 1시간도 투자 못하는 나에게 좋은 핑계거리를 제공해주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하지만, 역시 이제는 어른이기에 현재 가진 것을 통해서 어떻게 해서든 1만 시간을 투자할 수 있도록 내 자신의 노력이 좀 더 필요하지 않나 싶기도 한다. 

이 책은 자기계발이나 성공 하는 법을 친절히 알려주기보다는 얼마나 성공이 힘든지 다시 한번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여기에서 다뤄진 다양한 문화와 사건의 배경과 의미를 알게 된 것만으로도 충분히 즐거운 독서였다. 무조건 긍정적인 생각으로 이뤄진다는 자기 계발서와 달리 성공 하는 법을 보다 과학적으로 설명했다고 보여지는 이 책, 우리 사회를 이해하기 위해 이보다 더 적합한 책이 있을까 싶다. 

선발의 결과가 성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제 확실히 보이는가? 성공을 개인적인 것으로만 간주하면 결국 상위권에 올라갈 수 있는 이들의 기회를 박탈하고 만다. 성취감을 빼앗는 규칙이 적용되기 때문이다. 우리는 사람들에게 너무 성급하게 실패의 딱지를 붙인다. 또한 우리는 성공한 사람은 지나치게 추앙하는 반면, 실패한 이들은 가혹하게 내버린다. 성공하지 못한 이들에게 불리한 잣대를 들이댔으면서도 말이다. 우리는 누가 성공하고 누가 그렇지 못할지를 결정하는 우리의 역할이 얼마나 큰 비중을 차지하는지 쉽게 간과해버린다. P.47
 

연습은 잘하는 사람이 하는 것이 아니라 잘하기 위해 하는 것이다. 1만 시간의 법칙에서 무엇보다 흥미로운 것은 1만 시간이 엄청난 시간이라는 점이다. 성인이 아닌 경우, 스스로의 힘만으로 그 정도의 연습을 해낼 수는 없다. 격려해주고 지원해주는 부모가 필요하다. 경제적으로 곤궁해 아르바이트를 하느라 연습을 위해 충분한 시간을 낼 수 없으면 안 되므로 가난해서도 곤란하다. 대개의 경우, 특수 프로그램이나 특별한 종류의 기회를 붙잡아야 그 수치에 도달할 정도로 연습을 할 수 있다. P.5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