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일 - 2008년 제4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백영옥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08년 4월
평점 :
절판


조선일보에서 작가의 컬럼을 즐겨 읽었고, 그녀의 에세이집도 구입했다. 가끔 잘 모르겠다는 생각이 드는 컬럼도 있었지만, 왠지 문체가 마음에 들었고, 쉽게 읽히는 그녀의 글이 마음에 들었다. 그런 그녀의 장편 소설. 거기다가 무려 1억원의 상금을 거머쥔 세계 문학상 수상작이라니 출간이 되었다는 소식을 듣자마자 읽고 싶은 마음을 누를 수 없었다.

책은 생각만큼 재밌었다. 젊고 발랄했다. 그러면서도 왠지 무거운 면을 끼워넣었다. 패션 잡지 기자로 일하고 있는 젊은 여성 이서정은 과거의 아픔과 그늘 그리고 현실에 대한 불만족을 함께 가지고 있다. 그녀의 어두운 면이라던지, 연애라던지 왠지 억지스럽게 느껴지는 부분이 없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비교적 부드럽게 흘러간다. 거기다가 종종 공감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등장하기에 '욱'하려는 부분을 잘 다독인다.

구구절절 설명하고 이해시키고, 설득하고 싶지 않았다. 누군가는 내가 공들여 쌓은 탑을 부수려 들고, 누군가는 '싫어요'라는 말을 명함처럼 주머니 속에 넣고 다녔다. 모든게 지겨웠다. 거절당하는 것도, 부탁하는 것도. 나는 단도직입적으로 말했다.

회사 생활을 하면서 느낀 점은 '거절'이 얼마나 큰 상처를 주는가- 였다. 내부 사람들을 주로 상대하는 지원파트에서 일하면서도 상처입고 힘들어하는데, 실제 영업을 하거나 나를 모르는 외부 사람들을 상대하는 사람들은 얼마나 힘들까. 주인공 이서정은 이런 내 생각을 제대로 말해준다. 그 뒤 그녀가 택하는 '일 확실히 해내기' 역시 쓴웃음을 짓게하는 현실적인 모습이었다.

이런 현실적인 모습과 함께 작가는 우리가 바라는 많은 것을 안겨준다. 잡지책에서 보면 탄성을 지를법한 레스토랑, 까페, 옷들. 읽는 내내 괴롭지 않고 즐겁다. 들어가지도 않는 바지를 들고 낑낑대며 다이어트와 요요를 반복하는 주인공. 괜히 혼자 설레발치는 주인공. 화려하면서도 현실적이다.

우리가 바라듯 이 책은 웃으며 덮을 수 있는 그런 결말을 안겨준다. 하지만, 몇년동안 같은 직장에서 같은 일을 하면서도 제대로 된 생각 한 줄기 갖기 어려운 우리들보다 주인공은 몇백배 행복해보인다고 투덜대본다. '책을 덮고 백영옥씨 다운 책이었다' 라고 생각을 했다. 언제든 손을 뻗어 쉽게 읽고 싶지만, 막상 읽고나면 뭔가 아쉬운듯한. 하지만, 주인공과 마찬가지로 작가 역시 이제 시작이다라고 생각한다. 앞으로 그녀의 매력적인 글들을 기대해본다.    

시간이 돈이라고? 천만에! 21세기엔 돈이 시간이다. 돈은 무엇보다 시간을 절약해준다. 내가 돈에 집착하는 것처럼 보이는 건 바로 '돈'으로 살 수 있는 '시간'에 늘 목말라 있기 때문이다. 돈이 많으면 행복해질까? 적어도 레스토랑을 취재할 때만큼은 돈이 행복을 주는 것 같다.

삶은 여전히 풀기 어려운 문제같다. 그저 답을 찾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는 모두를 안쓰러워할 뿐. 누구도 대신 해줄수는 없다. 저 평화로운 한강다리도 어느 순간 무너질 수 있다고 생각하면 지금 이 시간, 바로 내 옆에 있는 사람들을 이해하는 것보다 중요한 건 아무것도 없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