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을 뒤흔든 16가지 연애사건 - 신분을 뛰어넘은 조선 최대의 스캔들
이수광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07년 7월
평점 :
품절


최근 간통죄의 위헌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갈수록 성에 관해 자유로워지면서, 사생활 침해라는 면이 강하게 부각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이렇듯, 남의 연애가 사회적 이슈로 떠오를 정도로 우리 나라에서 성과 연애는 어느 정도 사회의 규범 내에서 이루어져 왔다.


연애사는 나의 이야기던 남의 이야기던 항상 흥미롭기 마련이다. 여성들이 철저히 사회생활에서 배제되었고, 숨어 지내었듯이 느껴지는 조선시대. 과연 그녀들 그리고 그녀의 사랑이야기는 어떤 내용을 담고 있을까? 표지의 빨간 치마를 입은 한 여인은 미소를 띄고 있는 듯하지만, 표정이 자못 씁쓸한 듯 싶다. 그리고 책에 담긴 그네들의 이야기 역시 마냥 아름답지 만은 않다.


책은 현재에서도 놀라운 사랑이야기, 안타까운 사랑이야기들을 담고 있다. 한 소설에서 '지금 사랑하지 않는 자 유죄'라고 했다지만, 그 당시에는 '지금 사랑하는 자 유죄' 였다. 어찌보면 야사로 치부되어 버릴 수 있는 뒷이야기.


철저하게 통제된 삶을 살던 궁의 사람들. 그들의 외로움과 사랑이야기는 당시 제도와 풍습에 따른 어쩔 수 없는 결과가 아니었을는지. 세종대왕이 두 번이나 며느리를 내쳤다는 이야기는 유명하다고 하지만, 나의 경우 처음 접했기 때문에 무척 흥미로웠다. 또한 유명한 어우을동과 사방지의 이야기. 이들이 현대 사회에 살았더라면, 당시만큼 지탄 받았을지 의문이다. 
 

그 외에도, 그 때나 지금이나 아름답게 보이는 사랑 역시 기술되어 있었다. 고작 7살 때 한 번 본 인연으로 정절을 지켜 온 기녀의 이야기는 현재에는 정말 보기 힘든 이야기였고, 오랜 시간 동안 서로를 뒷받침하여 백년 해로한 부부들의 이야기는 지금 들어도 흐뭇하다.


놀랍고 재미있지만, 일부 이야기들의 씁쓸함은 감출 수 없다. 특히 대부분 억압받던 여성들이 그 이야기의 주인공이고 그네들의 사랑이 결국은 참형이나 죽음으로 이어지는 부분에서는 같은 여자로서 안타까움을 감출 수 없다. 자유롭게 사랑하기 힘들었던 사회에서 자신의 사랑과 생각을 지켜 나가려 했던 그녀들을 보며, 마음껏 사랑할 수 있는 현재를 새삼 감사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