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미국, 그 중심에 선 시카고
1893년 세계 박람회 장소를 놓고 연방의회에서 치열한 논쟁이 벌어졌다. 가장 접전을 벌인 곳이 뉴욕과 시카고였다. 최종 승자는 시카고였다.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대륙 발견 400주년을 기념하는 뜻깊은 박람회 장소로서 시카고가 선정된 것이다.

뉴욕 언론인 찰스 데이나는 시카고를 ‘바람의 도시Windy City’라고 비꼬았다. 미시간호에서 불어오는 매서운 바람을 가리켜서 붙인 별명이지만, 시카고 사람들은 바람만 잔뜩 뿜어내는 허풍쟁이들이란 의미에서 유래되기도 했다.

1860년 시카고에서 신설 정당인 공화당 전당대회가 열렸다. 링컨이 공화당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고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시카고는 미국의 영웅 링컨을 배출한 도시로 유명세를 타게 되었다.

1933년 금주법이 폐지될 때까지 밀주 거래를 놓고 대도시를 중심으로 벌어진 갱단의 세력 다툼은 크나큰 사회적 문제가 되었다. 그 중심이 시카고였다. 시카고는 당시 가장 악명 높은 알 카포네가 할거했던 중심지였기 때문이다.

결국 카포네는 1931년에 다수의 세금 포탈죄로 11년 형을 받아 감옥살이를 하게 되었다. 복역 초기부터 뇌의 신경매독으로 고통받다가 1947년 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났다. 그는 사라졌지만 시카고는 카포네의 도시라는 오명에서 쉽게 벗어나지 못했다. 2021년에도 미국에서 가장 많은 살인 사건이 발생한 곳이 시카고이다. 인구 대비 시카고의 범죄는 뉴욕이나 로스앤젤레스보다 심각한 상태이다.

시카고 사람들의 도시에 대한 애정은 그 어디보다 크다. 2016년 시카고 컵스 야구팀이 월드 시리즈에서 우승했다. 1908년 이후 처음 있는 일이었다. 100여 년 동안 우승을 하지 못했지만 컵스의 팬들은 ‘사랑스러운 패배자들’이라는 자부심과 희망을 잃지 않았다. 시카고가 낳은 미국 대통령 버락 오바마가 남긴 유명한 말이다. "난 시카고 출신이야. 절대 쫄지 않는다." 이것이 시카고 사람들의 기백이다.

1917년 밀워키의 크로아티아 공동체는 도시의 북쪽에 세이크리드 하트 크로아티아 교구를 설립했고, 1920년대 후반에 웨스트 앨리스에 두 번째 교구인 세인트어거스틴을 설립했다. 5,000명 이상의 세르비아인들도 밀워키에 거주하고 있다. 이들은 매주 금요일에 생선 튀김을 먹는 전통으로 유명하다.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전쟁 후 20세기 후반에는 보스니아인 인구도 늘어나고 있다.

20세기 내내 발칸반도는 민족과 종교적 갈등으로 아픔을 겪었는데, 밀워키에서 그 아픔을 뒤로하고 함께 공존하고 있다. 밀워키는 치유와 화해의 도시라고 할 수 있겠다.

할리데이비슨의 도시
밀워키는 전 세계 고급 오토바이의 대명사인 할리데이비슨Harley-Davidson 오토바이의 본거지이다. 1903년 밀워키에서 윌리엄 S. 할리William S. Harley와 그의 친구 아서 데이비슨Arthur Davidson이 엔진을 얹어서 움직일 수 있는 자전거를 만들었다. 1906년 그들은 지금의 주노 애비뉴에 첫 공장을 설립했는데 이곳이 지금의 할리데이비슨 회사의 본부가 있는 자리이다.

사회주의의 성지
밀워키는 미국에서 가장 사회당이 성공한 도시이다. 20세기 초반부터 1960년대까지 밀워키는 세 명의 사회당 시장을 당선시켰다. 밀워키 사회주의는 독일계 이민자들로부터 유래되었다. 1848년 혁명이 실패하자 이들은 미국으로 건너왔고 사회주의 운동을 펼쳐 나갔다. 1901년 밀워키 교사로서 밀워키 사회주의의 ‘모세’로 일컬어졌던 빅터 버거Victor Berger는 당시 유명한 노동운동가였던 유진 뎁스Eugene V. Debs와 함께 미국 사회당을 창당하기에 이르렀다. 1910년 버거는 최초로 사회당 연방 하원에 당선되기도 하였다.

1805년 대화재로 600여 명이 정착했던 디트로이트는 완전히 잿더미로 변해 버렸다. 디트로이트 시기市旗의 중앙에 두 여자가 그려져 있는데, 한 여자는 화재로 불탄 디트로이트를 배경에 두고 울고 있고 다른 여자는 새로운 도시가 들어설 것이라고 위로하는 모습이 새겨져 있다. 바로 위에는 이런 문구가 라틴어로 새겨져 있다. "더 나은 도시가 되길, 잿더미를 딛고 부활하리라."

세계 자동차의 수도가 된 헨리 포드의 도시

오대호 수로로 연결된 디트로이트는 주요 항구 및 교통 허브로 부상했다. 19세기 후반에 들어서 우드워드 애비뉴에는 해운 및 조선업에서 성공한 대부호들의 저택이 들어섰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데이비드 휘트니 저택David Whitney House이다. 토머스 에디슨에 의해 전기를 공급받은 워싱턴 불러바드는 ‘서부의 파리’로 불릴 정도로 화려한 도심으로 자리를 잡았다.

디트로이트가 미국 자동차의 메카가 되는 데에는 헨리 포드의 역할이 결정적이었다. 1896년에 마차 무역이 번성하자 포드는 맥 애비뉴의 임대 작업장에서 첫 자동차를 만들었고, 1903년 포드 자동차 회사를 설립했다. 포드는 어셈블리 라인을 이용한 자동차의 대량생산을 통해 자동차의 생산가를 낮춤으로써 일반인들이 자동차를 소유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그는 미국의 영웅이 되었다. 디트로이트는 세계 자동차의 수도로서 미국의 산업을 주도하는 산업 일번지가 되었다.

1920년대와 1930년대에 디트로이트는 큐 클럭스 클란(KKK)의 북부 거점이 되었으며, 각종 인종 혐오 범죄의 온상이 되었다.

1943년 6월 20일부터 22일까지 디트로이트에서 대형 인종 폭동이 발생했다. 총 34명이 사망했는데 이 중 25명이 흑인이었다. 폭도들은 패러다이스밸리의 흑인 정착촌을 공격해서 2020년 가치로 3,000여 달러에 해당하는 재산 피해를 낳았다.

2000년대에 들어서도 디트로이트의 재정은 계속 악화되어 갔다. 2013년 7월, 결국 디트로이트는 파산 신청을 하게 되었다. 미국의 대형 도시로서 역사상 최초로 부도가 난 도시가 된 것이다. 파산 당시 디트로이트 가로등의 40퍼센트가 작동하지 않았고 7만 8,000개의 건물이 버려졌으니 도시는 회생할 수 없는 수준으로 황폐해졌던 것이다.

디트로이트의 어느 언론인이 "디트로이트와 제3세계 국가는 별 차이가 없다. 다만 디트로이트 시내에는 염소들이 어슬렁거리지 않을 뿐이다"라고 했다. 디트로이트 현실의 슬픈 자화상이다.

시카고가 낳은 미국 대통령 버락 오바마가 남긴 유명한 말이다. "난 시카고 출신이야. 절대 쫄지 않는다." 이것이 시카고 사람들의 기백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쿠바인들이 차지하는 인구수에 따라 마이애미 정치에서 이들이 차지하는 영향력은 클 수밖에 없다. 다른 중남미 이주자들과는 달리 이들은 공화당 성향이 강하다. 이들은 공산주의 혁명을 피해 피난 왔기 때문에 반공주의를 지향하는 공화당에 우호적이다. 1961년 케네디 정부가 피그 만 공격에 실패하면서 더욱 공화당에 기울게 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공화당과 민주당 간 차이가 좁혀지긴 했지만, 여전히 마이애미 쿠바인들은 공화당 성향이 강하다. 2016년 선거와 2020년 선거에서 이들은 도널드 트럼프에 더 많은 표를 던졌다.

마약의 수도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이르면서 마이애미는 ‘마약의 수도’라는 오명을 안게 되었다. 콜롬비아 마약의 70퍼센트가 마이애미를 거쳐 미국 전역으로 펴져 나갔다. 1980년대와 1990년대 초반 콜롬비아 마약 카르텔의 황제였던 파블로 에스코바르는 마약으로 전 세계에서 가장 부자가 되었고, 그의 미국 본거지가 마이애미였다.

마이애미와 그 메트로폴리탄 지역은 이제 600만 명 인구가 거주하는 미국의 대형 도시로 성장했다. 마이애미의 별명이 ‘마법의 도시Magic City’인데 이는 짧은 기간에 놀라운 속도로 성장해 간 도시에 대한 압축적인 설명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그 마법의 근원에 마약이 있으니 이제 마법은 더 이상 옛날의 긍정적 의미라 할 수 없다.

대니얼 분과 윌리엄 클라크의 도시

미국의 역사는 서부 개척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서부 개척의 전설적인 인물이 켄터키의 대니얼 분Daniel Boone이다. 그는 1769년, 지금의 버지니아, 켄터키, 테네시가 만나는 컴벌랜드갭을 지나 켄터키로 들어가는 황무지를 불태워서 길을 닦았다.

남북전쟁에서 켄터키는 중립을 선택했다. 연방 대통령 링컨의 출생지이자 남부연합 대통령 제퍼슨 데이비스의 출생지이기도 했던 켄터키는 중립을 표방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켄터키 주민들은 갈라졌다. 남부연합에 지원해서 싸운 사람들도 있었고 연방에 지원해서 싸운 사람들도 있었다. 형제가 형제에게 총을 겨눈 대표적인 주가 켄터키였다. 링컨의 처남들도 남군에 지원했다. 대통령인 매형에게 총을 겨눈 셈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톨릭교도의 성지로 시작한 메릴랜드 식민지

1632년 메릴랜드 식민지는 최초의 가톨릭교도의 피난처로 설립되었다. 설립자인 세실 칼버트 남작은 가톨릭으로 개종한 사람으로서 찰스 1 세로부터 하사받은 토지를 메릴랜드라고 불렀다. 열렬한 가톨릭 신자였던 찰스 1세의 왕비 앙리에트 마리Henriette Marie를 기념하기 위함이었다.

이때 볼티모어의 맥헨리 요새Fort McHenry가 영국군의 포화로 불에 타고 있을 때 메릴랜드의 변호사이며 아마추어 시인이었던 프랜시스 스콧 키Francis Scott Key가 <맥헨리 요새의 방어〉라는 시를 작성했는데, 이것이 미국 국가의 가사가 된 것이다. 국가의 1절은 불타는 맥헨리요새에 휘날리는 성조기를 그려 내고 있다.

흑인들은 볼티모어의 서쪽과 동쪽에 주로 거주하는데 이를 ‘검은 나비’라고 부르기도 한다. 흑인들이 나비의 날개 모양으로 동서로 나눠져 있다는 의미이다. 반면에 백인들은 주로 중앙과 남동부에 거주해서 L자형 대형을 이루는데, 이를 ‘백인 L’이라고 한다.

1607년 영국인들이 북아메리카에 세운 최초의 식민지인 제임스타운과 1630년에 세워진 요크타운, 그리고 버지니아 식민지의 수도였던 윌리엄스버그, 이 세 곳을 버지니아의 ‘삼각 역사 유적지’라고 부른다. 이곳 어디든지 자동차로 채 30분이 걸리지 않기 때문에 하루에 식민지 시대 버지니아의 역사적 유산을 둘러볼 수 있는 최고의 역사 관광지이다.

롤프와 포카혼타스 사이에 토머스 롤프라는 아들이 있었다. 토머스는 이후 많은 후손을 보았고, 그들은 버지니아 역사와 미국 역사에서 전설적인 롤프-포카혼타스의 혈통을 이어 갔다. 그중 한 명이 버지니아 정치인이자 대농장주였으며 버지니아 대학교의 총장을 지낸 토머스 제퍼슨 랜돌프였다. 그는 3대 대통령 토머스 제퍼슨의 장손으로, 그의 어머니가 제퍼슨 대통령의 장녀였다. 28대 대통령 우드로 윌슨의 영부인 에디스 볼링 골트 윌슨은 포카혼타스의 9대 손이다. 1920년대 후반에 남극을 발견했던 리처드 에버린 버드도 롤프-포카혼타스의 후손이며, 그의 동생인 해리 플러드 버드는 193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연방 상원의원을 지냈고 민주당 대통령 후보로까지 떠올랐던 인물이다. 버드 상원의원은 민주당이었지만 흑백 분리주의자로서 의회 내에서 강력한 인종주의 세력을 주도했던 것으로 유명하다. 그의 선조가 최초로 인종 간 결혼을 했던 롤프-포카혼타스임을 생각할 때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영국군은 찰스타운을 비롯해서 사우스캐롤라이나 주민들의 적극적인 지지를 받지 못했고, 내륙 지대에서 왕당파의 적극적의 지지를 끌어내지 못했다. 결국 1781년 후반에 영국군이 버지니아의 요크타운에서 패배함으로써 미국은 독립 전쟁에서 승리하게 되었다.

잭슨 대통령 이후 이렇다 할 강력한 대통령이 등장하기 전에 미국은 세 명의 상원의원이 사실상 각 지역의 대표자 역할을 했다. 북부를 대표하는 대니얼 웹스터, 서부를 대표하는 헨리 클레이, 남부를 대표하는 존 캘훈, 이 세 명의 상원의원이 주도하는 이른바 ‘상원 삼두정치’ 시대가 도래하게 된 것이었다. 캘훈의 정치적 고향이었던 찰스턴은 자연스럽게 남부 주들의 정치적 일번지가 될 수밖에 없었다.

가장 늦게 설립된 식민지

미합중국의 토대가 되는 13개 식민지 중에서 가장 늦게 개척된 식민지가 조지아이다.

영국은 사우스캐롤라이나를 사실상의 남부 경계로 보았고, 스페인은 지금의 플로리다 지역을 그들의 북부 경계로 여겼으며, 프랑스는 미시시피강 인근의 내륙 지역에 집중하고 있었다. 누구도 조지아에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지 않았다. 이 틈새를 노려 오글소프는 조지아 식민지를 개척했고, 영국 왕 조지 2세의 이름을 따서 조지아라고 명명했다.

셔먼은 남부연합의 군수 및 병참의 중심이었던 애틀랜타를 완전히 파괴하지 않고는 남북전쟁이 쉽게 종결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했던 것이다. 무려 3,000여 개의 건물들이 잿더미가 되었다. 마거릿 미첼의 소설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는 1939년에 영화로 만들어졌는데, 영화에서 불타는 애틀랜타의 모습을 생생히 볼 수 있다.

미국을 대표하는 음료인 코카콜라가 애틀랜타에서 상품화되었다. 1886년에 남북전쟁 중에 남부연합의 대령이었던 애틀랜타의 어느 약사가 조지아는 물론 남부, 그리고 미국 전체의 신화를 창출했다. 그가 코카콜라를 만든 존 펨버턴이다.

코카콜라의 독특한 단맛은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았고, 공산주의의 철의 장막도 녹일 만큼 그 영향은 지대했다. 조금 과장해서 얘기하면 1989년 베를린장벽의 붕괴와 곧 이은 소련 연방의 해체의 보이지 않는 힘은 코카콜라가 갖는 자본주의의 단맛이라고 할 수 있다.

킹 목사는 1963년 8월 워싱턴 D.C.에서 열린 워싱턴 행진 때 링컨 기념관 앞에서 행한 연설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로 미국인들에게 깊은 감동을 주었다. 그는 인종차별의 철폐와 각 인종 간의 공존이라는 고매한 사상을 간결하고도 호소력 있게 외치며 감동을 주었다.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조지아주의 붉은 언덕에서 노예의 후손들과 노예 주인의 후손들이 형제처럼 손을 맞잡고 나란히 앉게 되는 꿈입니다. …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내 아이들이 피부색을 기준으로 사람을 평가하지 않고 인격을 기준으로 사람을 평가하는 나라에서 살게 되는 꿈입니다. 지금 나에게는 그 꿈이 있습니다!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 흑인 어린이들이 백인 어린이들과 형제자매처럼 손을 마주 잡을 수 있는 날이 올 것이라는 꿈입니다."

탤러해시는 텍사스주 오스틴과 함께 연방군에 포획되지 않은 단 2개의 남부연합의 수도였다.

새로운 쿠바
1949년 피델 카스트로 혁명이 발발하자 수많은 쿠바인들이 미국으로 이주했다. 마이애미는 그 지역적 인접성으로 인해 이후 15년 동안 약 50만 명의 쿠바인들이 마이애미에 정착했다. 1980년대와 그 이후에 쿠바인들은 꾸준히 마이애미로 이주했는데 이때 건너온 쿠바인들이 약 40만 명 정도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필라델피아는 헬라어로 ‘형제애의 도시’이다.

델라웨어강과 스쿨킬강 사이에 위치한 그 땅을 반듯한 사각형 형태로 구획해서 종교와 상관없이 누구나 유토피아의 삶을 살도록 했다. 필라델피아는 미국 최초의 계획도시인 셈이다.

퀘이커교도들이 이주민들의 주류였지만, 종교적 차이가 정착의 방해 요소가 되지 않았다. 오히려 이러한 종교적 다양성은 필라델피아가 북아메리카 식민지 중에서 가장 민주적인 정부를 세우는 배경이 되었다.

필라델피아는 미국 독립의 중심지였다. ‘건국의 아버지들’이 필라델피아에 모여서 독립 전쟁으로 갈 것을 결정했고, 독립 기념관에서 독립선언문을 채택했다.

누구나 여유롭고 안전하게 자신의 유토피아를 만끽하도록 건립했던 윌리엄 펜의 이상향은 그가 그토록 혐오하던 런던이나 다른 유럽의 대도시와 다를 바가 없이 되었고, 오히려 더욱 비참하게 변해 버렸다.

미국인이기 전에 뉴요커로 불리길 좋아하는 뉴욕 사람들

뉴욕은 맨해튼, 브롱크스, 브루클린, 퀸스 및 스태튼섬의 5개 구boroughs로 구성되었다. 그 중심지는 맨해튼이다. 우리가 보통 뉴욕이라 함은 맨해튼을 지칭한다.

현재 뉴욕에는 텔아비브보다 더 많은 유대인들이 살고 있고, 더블린보다 더 많은 아일랜드인들이 살고 있다. 나폴리보다 더 많은 이탈리아인들이 살고 있으며, 산후안보다 더 많은 푸에르토리코인들이 살고 있다. 800개가 넘는 언어로 세계에서 가장 다양한 언어가 사용되는 도시이며, 세계에서 외국 태생 사람들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도시가 뉴욕이다.

1614년, 네덜란드인들이 모피 무역을 위해 맨해튼 남단에 식민지를 세웠고 그곳을 뉴암스테르담이라고 불렀다. 영국은 1664년 9월 8일 뉴암스테르담을 강제로 점령하고 영국 왕 제임스 2세가 된 요크 공의 이름을 따서 그곳을 뉴욕으로 개칭했다.

1765년 인지세법 회의가 뉴욕에서 열렸고, 여기서 13개 식민지 대표자들은 ‘대표자 없는 곳에는 과세가 없다’라는 원칙을 천명하기도 했다. 뉴욕에서 1789년 조지 워싱턴의 취임식과 함께 미합중국의 출범이 선포되었다. 다음 해 최초의 의회 역시 뉴욕에서 개최되었다.

제1차세계대전 이후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산업국가로 위용을 드러냈다. 1931년 완공된 당시로서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102층(381미터) 엠파이어스테이트빌딩은 그 위용을 대변하였다. 1973년에 세계무역센터 쌍둥이 건물(417미터, 415미터)이 완공되기까지 엠파이어스테이트빌딩은 미국에서 가장 높은 빌딩으로서 뉴욕의 트레이드마크가 되었다.

온갖 편견과 핍박으로부터 벗어나서 자유로움과 다양성을 추구하며, 미국의 성조기에 예를 갖추기보다는 그 성조기가 추구하는 자유의 가치가 담겨 있는 ‘자유의 여신상’에 경의를 표하는 사람들이 진정한 뉴요커일 것이다.

미국의 수도인 워싱턴 D.C.는 미국의 도시 혹은 지역 중에서 유일하게 헌법에 의해 만들어진 도시이다. 1789년에 통과된 미국 헌법은 ‘특정한 주들의 양도에 의해 10평방마일의 연방 수도’를 만들도록 규정했다. 여기에 해당하는 땅을 버지니아주와 메릴랜드주로부터 제공받아 1790년 7월 16일에 수도 건설에 착수했다.

D.C.는 컬럼비아 지구District of Columbia의 약자이다. 아메리카 대륙을 탐험했던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를 기념하기 위함인데, 콜럼버스의 여성형 명사를 써서 컬럼비아라고 했다. 여기에 초대 대통령 조지 워싱턴의 이름을 붙여 워싱턴 D.C.라는 공식 명칭이 채택되었다.

1814년 8월 24일 영국군은 워싱턴을 점령하고 수많은 공공시설을 불태우기 시작했다. 국회의사당은 심각하게 전소되었으며, 의회 도서관에 소장 중이었던 3,000여 권의 문서들이 잿더미가 되었다. 재무부와 전쟁부 건물도 불에 탔고, 백악관도 탔다.

1963년 8월 28일 흑인 민권운동의 일환으로 전개된 시위에 25만 명이 참가했으며, 여기서 마틴 루서 킹 목사가 유명한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라는 연설을 행했다. 또한 미국의 베트남전쟁 개입에 대한 반대 시위가 워싱턴 D.C.에서 수차례 열렸는데, 그중 1969년 11월 15일에 열린 가장 큰 시위에는 무려 50만 명이 참가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에게 가장 ‘멀고도 가까운 나라’는 어디일까? 그 1순위는 단연 미국이다. 지리적 거리로 보면 먼 나라인 것은 사실이나, 미국은 현재 정치, 경제, 문화 등 모든 면에서 우리와 매우 가깝다.

오른쪽 세로의 13개 줄은 모태가 되는 13개 주를 상징하고, 왼쪽 위에 담긴 별들은 연방에 가입한 주의 숫자이다. 1959년 알래스카와 하와이가 연방에 합병되면서 별의 숫자가 50개가 되었다. 별이 추가될 때마다 국기는 새로 만들어져야 했다.

만약 미국 북동부 도시들 중에서 미국의 역사와 문화를 가장 잘 보여 주는 곳으로 한 도시만을 선택해서 여행해야 한다면 어디를 선택할까? 바로 보스턴이다.

런던에서 북쪽으로 160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위치한 영국의 보스턴을 따서 그렇게 불렀다.

보스턴차사건Boston Tea Party은 북아메리카가 독립 전쟁으로 가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1775년 6월 17일에는 보스턴 민병대가 벙커힐 전투에서 영국군에 일격을 가했다. 식민지인들이 막강 영국군에 대항해서 싸울 만하다는 자신감을 일깨워 준 중요한 전투였다.

우리나라와도 인연이 깊다. 1947년 대회에서 처음으로 참가한 서윤복 선수가 세계신기록을 세워 동양인 최초로 우승했고, 1950년에는 함기용 선수가, 그리고 2001년에 이봉주 선수가 우승했다.

미국의 문학과 철학 등 정신적인 면에서도 보스턴이 차지하는 비중은 막강하다. 19세기에 랠프 월도 에머슨, 헨리 데이비드 소로, 너새니얼 호손, 헨리 워즈워스 롱펠로 등의 기라성 같은 작가들과 철학자들이 보스턴에서 집필을 했다.

남북전쟁 동안 연방군이 애창했던 군가인 〈공화국의 전투 찬가〉의 작사자로 유명한 줄리아 하우Julia Ward Howe가 당시에 보스턴을 이렇게 묘사했다. "보스턴은 사막의 오아시스다. 그곳에 사는 많은 사람들은 사랑스럽고 이성적이며 행복하다." 이후 적어도 1세기 반이 지났지만, 보스턴 사람들에 대한 평가는 크게 다르지 않을 것 같다.

반항아들의 도피처로 시작한 로드아일랜드

결국 그는 청교도 공동체에서 추방되었다. 그가 새로 정착한 곳이 ‘신의 섭리’라는 뜻의 프로비던스Providence였다.

로드아일랜드의 정신은 훗날 정교분리 원칙에 근거하는 미국의 헌법과 미합중국의 건국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크기는 작을지 모르나 독립으로 가는 길에서 로드아일랜드는 작지 않는 역할을 했다. 미국의 역사는 로드아일랜드에서 시작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