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교도의 성지로 시작한 메릴랜드 식민지

1632년 메릴랜드 식민지는 최초의 가톨릭교도의 피난처로 설립되었다. 설립자인 세실 칼버트 남작은 가톨릭으로 개종한 사람으로서 찰스 1 세로부터 하사받은 토지를 메릴랜드라고 불렀다. 열렬한 가톨릭 신자였던 찰스 1세의 왕비 앙리에트 마리Henriette Marie를 기념하기 위함이었다.

이때 볼티모어의 맥헨리 요새Fort McHenry가 영국군의 포화로 불에 타고 있을 때 메릴랜드의 변호사이며 아마추어 시인이었던 프랜시스 스콧 키Francis Scott Key가 <맥헨리 요새의 방어〉라는 시를 작성했는데, 이것이 미국 국가의 가사가 된 것이다. 국가의 1절은 불타는 맥헨리요새에 휘날리는 성조기를 그려 내고 있다.

흑인들은 볼티모어의 서쪽과 동쪽에 주로 거주하는데 이를 ‘검은 나비’라고 부르기도 한다. 흑인들이 나비의 날개 모양으로 동서로 나눠져 있다는 의미이다. 반면에 백인들은 주로 중앙과 남동부에 거주해서 L자형 대형을 이루는데, 이를 ‘백인 L’이라고 한다.

1607년 영국인들이 북아메리카에 세운 최초의 식민지인 제임스타운과 1630년에 세워진 요크타운, 그리고 버지니아 식민지의 수도였던 윌리엄스버그, 이 세 곳을 버지니아의 ‘삼각 역사 유적지’라고 부른다. 이곳 어디든지 자동차로 채 30분이 걸리지 않기 때문에 하루에 식민지 시대 버지니아의 역사적 유산을 둘러볼 수 있는 최고의 역사 관광지이다.

롤프와 포카혼타스 사이에 토머스 롤프라는 아들이 있었다. 토머스는 이후 많은 후손을 보았고, 그들은 버지니아 역사와 미국 역사에서 전설적인 롤프-포카혼타스의 혈통을 이어 갔다. 그중 한 명이 버지니아 정치인이자 대농장주였으며 버지니아 대학교의 총장을 지낸 토머스 제퍼슨 랜돌프였다. 그는 3대 대통령 토머스 제퍼슨의 장손으로, 그의 어머니가 제퍼슨 대통령의 장녀였다. 28대 대통령 우드로 윌슨의 영부인 에디스 볼링 골트 윌슨은 포카혼타스의 9대 손이다. 1920년대 후반에 남극을 발견했던 리처드 에버린 버드도 롤프-포카혼타스의 후손이며, 그의 동생인 해리 플러드 버드는 193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연방 상원의원을 지냈고 민주당 대통령 후보로까지 떠올랐던 인물이다. 버드 상원의원은 민주당이었지만 흑백 분리주의자로서 의회 내에서 강력한 인종주의 세력을 주도했던 것으로 유명하다. 그의 선조가 최초로 인종 간 결혼을 했던 롤프-포카혼타스임을 생각할 때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영국군은 찰스타운을 비롯해서 사우스캐롤라이나 주민들의 적극적인 지지를 받지 못했고, 내륙 지대에서 왕당파의 적극적의 지지를 끌어내지 못했다. 결국 1781년 후반에 영국군이 버지니아의 요크타운에서 패배함으로써 미국은 독립 전쟁에서 승리하게 되었다.

잭슨 대통령 이후 이렇다 할 강력한 대통령이 등장하기 전에 미국은 세 명의 상원의원이 사실상 각 지역의 대표자 역할을 했다. 북부를 대표하는 대니얼 웹스터, 서부를 대표하는 헨리 클레이, 남부를 대표하는 존 캘훈, 이 세 명의 상원의원이 주도하는 이른바 ‘상원 삼두정치’ 시대가 도래하게 된 것이었다. 캘훈의 정치적 고향이었던 찰스턴은 자연스럽게 남부 주들의 정치적 일번지가 될 수밖에 없었다.

가장 늦게 설립된 식민지

미합중국의 토대가 되는 13개 식민지 중에서 가장 늦게 개척된 식민지가 조지아이다.

영국은 사우스캐롤라이나를 사실상의 남부 경계로 보았고, 스페인은 지금의 플로리다 지역을 그들의 북부 경계로 여겼으며, 프랑스는 미시시피강 인근의 내륙 지역에 집중하고 있었다. 누구도 조지아에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지 않았다. 이 틈새를 노려 오글소프는 조지아 식민지를 개척했고, 영국 왕 조지 2세의 이름을 따서 조지아라고 명명했다.

셔먼은 남부연합의 군수 및 병참의 중심이었던 애틀랜타를 완전히 파괴하지 않고는 남북전쟁이 쉽게 종결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했던 것이다. 무려 3,000여 개의 건물들이 잿더미가 되었다. 마거릿 미첼의 소설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는 1939년에 영화로 만들어졌는데, 영화에서 불타는 애틀랜타의 모습을 생생히 볼 수 있다.

미국을 대표하는 음료인 코카콜라가 애틀랜타에서 상품화되었다. 1886년에 남북전쟁 중에 남부연합의 대령이었던 애틀랜타의 어느 약사가 조지아는 물론 남부, 그리고 미국 전체의 신화를 창출했다. 그가 코카콜라를 만든 존 펨버턴이다.

코카콜라의 독특한 단맛은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았고, 공산주의의 철의 장막도 녹일 만큼 그 영향은 지대했다. 조금 과장해서 얘기하면 1989년 베를린장벽의 붕괴와 곧 이은 소련 연방의 해체의 보이지 않는 힘은 코카콜라가 갖는 자본주의의 단맛이라고 할 수 있다.

킹 목사는 1963년 8월 워싱턴 D.C.에서 열린 워싱턴 행진 때 링컨 기념관 앞에서 행한 연설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로 미국인들에게 깊은 감동을 주었다. 그는 인종차별의 철폐와 각 인종 간의 공존이라는 고매한 사상을 간결하고도 호소력 있게 외치며 감동을 주었다.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조지아주의 붉은 언덕에서 노예의 후손들과 노예 주인의 후손들이 형제처럼 손을 맞잡고 나란히 앉게 되는 꿈입니다. …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내 아이들이 피부색을 기준으로 사람을 평가하지 않고 인격을 기준으로 사람을 평가하는 나라에서 살게 되는 꿈입니다. 지금 나에게는 그 꿈이 있습니다!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 흑인 어린이들이 백인 어린이들과 형제자매처럼 손을 마주 잡을 수 있는 날이 올 것이라는 꿈입니다."

탤러해시는 텍사스주 오스틴과 함께 연방군에 포획되지 않은 단 2개의 남부연합의 수도였다.

새로운 쿠바
1949년 피델 카스트로 혁명이 발발하자 수많은 쿠바인들이 미국으로 이주했다. 마이애미는 그 지역적 인접성으로 인해 이후 15년 동안 약 50만 명의 쿠바인들이 마이애미에 정착했다. 1980년대와 그 이후에 쿠바인들은 꾸준히 마이애미로 이주했는데 이때 건너온 쿠바인들이 약 40만 명 정도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