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관실에 들어간 그는 우선 컵라면의 봉지를떼고 거기에 뜨거운 물을 가득 부었다. 그리고는 큰 유리잔에 소주를 붓고 한숨에 마셨다. - P14

물론, 내가 이 꽃들을 사랑하게 된 약간의 이유는 있다. 스물두세살의 가을날, 나는 도보 여행중이었다. 그때 나는 알베르 카뮈의 수상집을 배낭에 넣어두고 있었다. <티파사에서의 혼례>라는 글이 그첫머리에 실려 있었다. ‘티파사‘는 카뮈가 찾은 이 지상‘이라는말의 대유적 표현이었으며 ‘혼례‘는 ‘가장 빛나는 삶이란 뜻의 은유였다. 어느 황혼녘 강둑에서 나는 그 글을 읽었다. - P16

‘티파사‘를살일, 증언할 일.
예술 작품은 그 뒤에 따라올 것이다.
여기에만이 ‘자유‘ 가 있다. - P16

우리나라의 대부분 시인들과 마찬가지로 이성복의 두 번째 시집은 첫 번째 시집보다 그 문학적 열정 및 영혼의 감응력이 떨어졌다.
삶이 그를 일찍 노숙케 한 때문일까. 돌아간 김현 같은 이가 이성복의 시 세계에 대하여 ‘치욕의 시적 변용‘이란 상당히 매력적인 지적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테마는 두 번째 시집보다는 첫 번째 시집에 어울릴 것이었다. 첫번째 시집에서 떨어진 빛의 가루들이 두 번째 시집의 책갈피를 잠깐씩 반짝이게 하는 격이었다. - P20

한 여자 돌 속에 묻혀 있었네
그 여자 사랑에 나도 돌 속에 들어갔네
어느 여름 비 많이 오고
그 여자 울면서 돌 속에서 떠나갔네
떠나가는 그 여자 해와 달이 끌어주었네
남해 금산 푸른 하늘가에 나 혼자 있네
남해 금산 푸른 바닷물 속에 나 혼자 잠기네.
- 이성복 <남해 금산> - P2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5페이지>




이 세상 모든 책들이
그대에게 행복을 가져다주지는 않아
하지만 가만히 알려주지
그대 자신 속으로 돌아가는 길

그대에게 필요한 건 모두 거기에 있지
해와 달과 별
그대가 찾던 빛은
그대 자신 속에 깃들어 있으니


그대가 오랫동안 책 속에 파묻혀
구하던 지혜
펼치는 곳마다 환히 빛나니
이제는 그대의 것이리

-- 헤르만 헤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580년 펠리페는 ‘물려받았노라, 샀노라, 정복했노라‘ 라는  말과 함께 포르투갈왕이 되었다. - P720

1519년 9월 20일, 마젤란은 트리니다드호를 비롯한 5척의 배에 2년치 보급을 싣고 237명의 선원을 데리고 산룩카르 데 바라메다에서 출항했다. - P724

남은 사람들은 후안 세바스티안 엘카노(Juan SebastiánElcano)의 지휘하에 귀국 항해를 했다. 인도네시아의 티토레섬에 도착하여 출항 후 처음으로 환대를 받고 상품을 교환하여향신료를 실었다. 1522년 9월 6일 18명의 유럽인과 3명의 말레이인이 마침내 산루카르 데 바라메다에 도착했다. 2년 11개월 2주 걸려 세계를 주항한 것이다. 세계는 바닷길로 연결되어있다는 것이 확실하게 밝혀졌다. - P727

태평양 항로 열기
마젤란의 항해로 아메리카가 미지의 남방대륙(TerraAustralis Incognita)에 붙어 있지 않으며, 태평양도 항해가가능하다는 점이 밝혀졌다. 그러자 에스파냐와 포르투갈 간 영역 구분선이 어디인지를 놓고 다시 문제가 발생했다. 1524년부터 양측 전문가들이 모여서 논의한 끝에 1529년 사라고사(Zaragoza)조약을 체결했다. 그 내용은 몰루카제도 동쪽 300리그를 구분선으로 삼는 것이다. 이 조약에 따라 동남아시아의많은 섬은 포르투갈 관할이 되고, 에스파냐는 태평양의 섬들을관할하게 되었다. 양국은 이번에도 성실하게 회의를 하여 구분선을 획정한 다음 곧 조약 내용을 위반하는 일을 반복했다. 필리핀은 구분선 서쪽에 있으므로 포르투갈 관할이었지만, 에스파냐는 13년 후 필리핀(‘펠리페의 땅‘이라는 의미인데, 이는 발견 당시 에스파냐의 왕세자이고 나중에 국왕이 되는 펠리페에서 온 이름이다)을 식민화하고 멕시코-필리핀 항로를 개척하고자 했다.
1 - P72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상에서 가장 부드러운 이불자락인
섬진강의 모래를 등에 지고 하늘을 바라보면
하늘은 그대로 램프의 꽃밭이었다. - P5

‘예술적인 것‘으로의 자유로운 여행
모든 인간들은 ‘역마‘에 대한 꿈을 어느 정도 안고 산다. 먼지와소음에 뒤덮인 일상을 훌훌 떨치고 아무런 구애받음도 없이 산맥과사막과 강물을 바람처럼 떠돌고 싶은 것이다. 이런 점에서 나는 철저한 행운아다. 자신들의 삶에 충실한 세계관을 지닌 부모님들의 덕분으로 철이 들기도 전에 이미 삶이 역마‘ 라는 것을 체험으로 깨달았기 때문이다. - P6

인간이 역마를 꿈꾸는 것은 아름다운 세상에 대한 근원적인 향수를 인간 모두가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 P7

시끌벅적한 답사나 견학보다 마음의 여행, 정신의 여행을 원하는친구들에게 이 책이 많이 읽혔으면 싶다.
2003년 가을 곽재구 - P7

이성복의 남해 금산을 찾아서
미조 포구에서의짧은 하룻밤의 기록
바다의 빛은 신비하다. 방황, 번민, 안일………….
일체의 잡념이 느껴지지 않는다.
몸 빛깔이 바다의 빛깔을 닮은 새 한 마리가 수평선 쪽으로 날아갔다.
완전히 어둠이 내리면 저 새와 바다의 뼈가 한꺼번에 드러나 보이리라 - P12

긴 여행에서 돌아온 사람은 거짓말을 해도 좋다고 말한 사람은 누구였을까, 베르그송? 릴케?
한때 그 말이 아름답다는 생각을 한적이 있었다. - P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