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긴 이별을 위한 짧은 편지 (무선) ㅣ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68
페터 한트케 지음, 안장혁 옮김 / 문학동네 / 2011년 2월
평점 :
76쪽에는 76번 국도에서 주인공이 이야기하는 내용이 나온다. 편집하는 분이 의도한 것은 아니겠지.
76번 국도 이야기가 76쪽에 나올 확률은 얼마가 될까. 76번 도로 장면은 75쪽에서 시작하여 몇장에 걸쳐 나오는데, 편집자나 번역자가 의도하지 않았다는 것이 명백하다. 설마 의도했을까? 귀무가설이 기각되지 않을 것이다. 우연히 일어났다는 이야기 되겠다.
문제는 내 기억에는 76번도로 맞는데 책을 금방 처리해버려서 확인불가하다. 내 기억을 믿어보는 수 밖에. 중요한건 페이지와 내용에 나온 미국 도로 번호가 일치했다는 사실.
읽어보면 어떻게 하면 언어를 잘 표현할 수 있을까에 중점이 있는 것 같기도 하고 사건이나 스토리의 긴박함이나 긴장에는 별로 관심이 없어보인다. 그냥 인물 특히 주인공의 내적 갈등, 내적 독백으로 소설이 진행된다. 뒤에 붙어있는 해설에는 러시아 형식주의에 영향을 받았다고 하는데 형식주의는 잘 몰라서 이 사조가 영향을 준 신비평을 생각해보면 예술지상주의라고 할까. 예술을 위한 예술, 작가와 예술의 분리인 것 맞나 모르겠다. 고정석의 읽기에는 신비평이 그렇다고 나온다.
다음 백과에 찾아보았다. 형식주의라는 것은 "낯설게하기"가 핵심적인 개념인 듯 보이는데.
(......)사회학적 비평에 반대하는 형식주의자들은 문학(특히 시)이 평범한 언어를 예술적으로 변모시키거나 '낯설게' 만드는 방법을 분석함으로써 '예술 표현의 수단'에 중점을 두었다. 이들은 내용보다 형식과 기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형식주의는 마르크스주의 비평가들로부터는 항상 미움을 받았는데 1929년 정치적 통찰력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비난당하기 전까지는 소련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 그후 러시아 형식주의는 주로 구조주의 언어학자인 로만 야콥슨의 저서를 통해 서방 세계에서 영향력을 갖게 되었다. 특히 영국과 미국의 신비평에 많은 영향을 주었기 때문에 신비평도 때로는 형식주의라고 한다.
출처: [Daum백과] 형식주의 ,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25h1114a
낯설게 하기를 잘 적용한 듯 보인다. 일상적이고 떠나간 아내를 찾아가는 여정, 비루한 일상과 저열한 삶과 인식을 통해 이야기를 서술하고 그 의미를 내적 갈등을 통해서 아내나 삶의 의미를 찾아가는 과정을 그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