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정일, 작가 - 43인의 나를 만나다
장정일 지음 / 한빛비즈 / 2016년 2월
평점 :
절판


책을 쓴다는 것은 하고 싶은 이야기, 해야만 하는 이야기를 하는 것일 거다.

작가 김영하는 TEDx서울에 나와서 카프카 이야기를 한다.

"어느 날 아침 그레고르 잠자가 불안한 꿈에서 깨어났을 때 그는 침대 속에서 한 마리의 흉측한 갑충으로 변해 있는 자신의 모습을 발견했다."-<변신>

김영하는 카프카가 위의 문장을 쓰고 이 문장을 감당하기 위하여 완성한 작품이 현대문학의 걸작인 <변신>이라고 이야기 한다.

카프카는 실제든 우의든 벌레로 변한 사람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싶었을 것이다. 이것이 핵심이다. 핵심을 한문장으로 쓰고 김영하의 말대로 그 한 문장에 논리에 맞추려고 써내려가다보니 <변신>을 완성했을 것이다. 자신의 작품의 핵심을 생각하고 거기에 뼈대를 보충하고 살을 붙이고 덧 붙여 하나의 작품이 나오는 것 아니겠나.

장정일을 그것이 궁금했던것 같다. 저자가 쓰고 싶었던 핵심.

저자가 말하려는 핵심은 직접 만나서 물어봤을 때 바로 나올 거라고 예상할 수 있다. 물론 책을 읽어서 저자의 핵심에 차근차근 따라가서 도달할 수도 있을것이다. 하지만 직접 물어보면 그 핵심이 바로 나올 수밖에 없을거다. 그 핵심이라는 것은 저자가 이야기하고 싶었던 혹은 쓰고 싶었던 말이었기 때문에 인터뷰에서 봇물 터지듯 나올 거라 예상 할 수 있다.

장정일은 인터뷰어에 대한 환상을 가지고 있었다. 문학 청년 시절 작가에 대한 환상을.
"글을 쓰고 책을 읽는 세계로 진입하기 이전, 그러니까 아직 작가라는 정체성을 얻기 이전인 문학청년 시절, 인터뷰어가 직업이 되면 참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래서 흔히 볼 수 있는 여성지의 인터뷰 기사를 수업 삼아 읽기도 했다. 인터뷰는 명성있는 인사를 만나 그들을 독선생으로 모시고 공부할 수 있는 기회다."-p11

하지만 몇 번의 인터뷰를 통해서 그는 인터뷰가 힘든 일이고 창의적이기에는 애매함을 깨달았고 또 나이가 먹어감에 따라 인터뷰라는 것이 몸에 맞지 않는 옷을 입는 느낌이 들었기 때문에 그 후로는 인터뷰 의뢰를 사양하게 된다. 예민한 감수성을 가지고 혼자서 글을 쓰는 작가 장정일이 다른 사람과 호흡을 맞추어가며 하는 인터뷰가 어울리지 않음을 나는 충분히 짐작할 수 있었다.

위에서 이야기 했듯이 장정일은 인터뷰를 통해 작가 43인이 책을 통해 이야기하고 싶었던 핵심에 대하여 파헤치고 있다. 거기에 덧붙여 책에 기술되지 않은 그 책을 둘러싼 궁금증이나 논란까지도.

그래서 저자도 이야기하지만 이 책은 일종에 서평같기도 하다.

43인의 작가는
이원석, 박찬일, 노순택, 오세혁, 한지희, 고규홍, 김어준, 윤광준, 정윤아, 안치운, 이상묵, 모모세 타다시, 박유하, 고성국, 박근형, 최규석, 김혜리, 이강백, 이경자, 백문임, 선옥현, 이충렬, 최은규, 이희원, 이다 도시, 김범, 존 프랭클, 박생래 이혜경, 이용우, 이옥순, 김용규, 우석훈, 박현모, 석영중, 고미숙, 조용헌, 백민정, 이혜령, 고혜경, 김기협, 이희진, 하여휘.

작가, 소설가, 음악칼럼리스트, 일문학자, 희곡작가, 방송기자, 방송인, 역사학자 등을 망라한다.

고성국, 이강백, 고규홍, 김어준, 이다도시, 고미숙, 조용헌
이 분들을 제외하고 나머지 분들은 생소했다. 생소한 분들의 책에 대한 호기심이 동했다. 그분들의 책을 접할 기회가 된다면 이 인터뷰집을 다시 뒤적거리게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