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 사진과 기록으로 읽는 한글의 역사 서울대 인문 강의 시리즈 4
김주원 지음 / 민음사 / 201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울대 인문 강의 시리즈 중 네번째.
한글과 그와 관련한 세종의 업적에 대하여 전문적으로 풀어준다.

`역사저널 그날`에서 나온 내용 대로 한글은 적어도 세종이 주도해서 만들었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있으며
창제과정에서
그 당시 언어학(음운학) 다른 나라의 문자를 어느정도 참고 했으며 영향을 받았는가에 대하여 자세히 나와 있다.

여러 북방 유목 민족의 문자와 의 관련성에 관한 내용은 매우 정밀하게 분석하고 있고 그 동안 막연히 북방 민족의 언어를 참고해서 섰다는 것을 알고 있었는데

사실은 여타 기존의 문자와 관련성이 희박하고 한글이 매우 독창적인 창제원리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알게된다. 북방의 문자들은 일본의 가나처럼 한자를 기반으로 하고 몹시 복잡한 체계를 가지고 있다. 그에 반하여 한글은 초성 중성 종성의 간략하면서 정교한 체계이다. 현대의 음운학의 성과를 600년 전에 반영하고 있다는 주장에 놀라웠다.

서울대 인문 강의가 지금까지 6개 나와있는데
저자는 쉽게 풀어 쓰는 것을 목표로 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가장 전문적인 느낌이 강했다. 아마도 어려운 음운학에 대한 내용과 적어도 내게는 친숙하지 않은 한자때문인 것 같다.

세종의 위대함을 확실한 근거와 자료로 느끼게 해준다.
다시 한번 발췌독해보아야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