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궁의 노래>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별궁의 노래 - 잊혀진 여걸 강빈 이야기
김용상 지음 / 순 / 2010년 5월
평점 :
절판


몇 달 전에... 소현세자의 이야기를 담은 <<소현>>을 읽었다. 그리고 이젠, 소현세자빈의 이야기. 병자호란에서 너무나 비굴한 패배 끝에 청국으로 끌려가 온갖 고생을 하고 8년만에 조선에 돌아온 지 얼마되지 않아 죽음에 이른 소현세자의 이야기를 다른 시각으로 읽는 재미는 크다. 

저자는 소현세자빈에 대해 각별한 애정을 갖고 있는 듯하다. 자신의 주인공이기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지금까지 우리가 "여걸"이라고 일컫는 대열에 소현세자빈이 전혀 뒤지지 않음을 작가의 말에서 피력하고 있다. 하지만 나로서는... 이 작가의 말을 괜히 읽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편집상 뒤쪽에 있었다면 오히려 소설을 객관적으로 읽을 수 있지 않았을까...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전에 읽었던 소설에서는 세자빈에 대해서는 거의 언급이 없다시피 했기 때문에 <<별궁의 노래>>에 등장하는 소현세자빈이 참으로 낯설다. 

"순종적이고 수동적인 것을 미덕으로 여겨온 조선 여인상에서 벗어나 있으니 그럴 만합니다. "...48p

세자빈은 자기 스스로 다른 여인네들과는 다르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저 바깥일에 간섭하지 않고 조용히 내조만을 바라는 궁중 여인들의 예법과는 상당히 거리가 멀다. 한 발 더 일찍 정세를 읽고 바른 길로 세자를 인도하고 싶어했고, 어려움에 처한 심양관을 구하고자 직접 농사와 무역에 참여하여 사람을 부릴 줄도 알았다.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배우고 그것을 응용하여 적용할 줄도 알았다. 그러니 그녀가 모든 이들에게 얼마나 눈엣가시였을지...

소설을 읽다보니 안그래도 두껍고 길어 자칫 헤이해지기 쉬운 집중력을 흐트려뜨리는 것들을 발견하게 된다. 이야기가 물 흐르듯 흐르다말고 어딘가로 튄다고 느껴지는 것. 누군가를 설명하기 위해 전체 줄거리에서 빠져나와 뒤로, 혹은 옆으로... 새나가다보니 내가 지금 어디를 읽고 있나...하는 생각이 종종 들었다. 그런가하면 당시의 역사를 자세히 모르는 사람들을 위한 역사적 배경이 부족하다. 때문에 내가 이 책을 읽기 전에 같은 시대의 책을 읽지 않았다면... 이 책의 반이나 이해할 수 있었을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럼에도 워낙 소현세자와 임금 간의 갈등이 크다보니 책은 쉬이 넘어가는 편이다. 하지만 내게는 "작가의 말"에서 읽은 저자의 세자빈에 대한 각별한 애정이 무의식 속에 자리잡고 있어 이 또한 저자의 편애가 아닌가..싶었다. 분명 세자빈은 그당신의 여인들과는 달랐다. 또, 소현세자의 입장에서는 너무나 억울한 누명이었다. 하지만 그렇다하더라도 그 좋고 명민한 머리로 세자빈은 마음을 추스리고 다른 방법을 찾았어야 하는 것은 아닌가. 분명 세자빈은 아버지와 아들과의 관계를 조 소용처럼은 아니더라도 악화시키는 데 일조를 했을지도 모른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그러니 누가 옳고 그러냐...를 따지고 싶다면 그 모든 결론은 이 책을 읽는 각자 독자의 몫이 아닐까. 

분명 세자빈은 불행을 기회로 만들 줄 아는 똑똑하고 생활력 있는 여인이었다. 또 비록 볼모였다 하더라도 청나라에서 많은 것을 보고 배운 소현세자가 다음 임금이 되었다면.. 우리의 역사는 많이 바뀌어 있을지도 모르겠다. 저자는 이 책을 쓰면서 자신의 역사관을 세자빈을 통해 밝히고자 한 것 같다. 하지만 바로 그 때문에 이 책을 읽는 독자는... 왠지 이 책이 객관적이 아닌, 무척이나 주관적인 책으로 느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