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현>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소현
김인숙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 전, <병자록>을 쉽게 쓴 <<남한산성의 눈물>>을 읽을 때만 해도 전쟁 당시의 참혹함과 전쟁에서 지고난 후의 그 굴욕감만을 받아들였지 그 후의 이야기 같은 것은 생각도 해보지 못했다. 임금은 땅에 무릎을 꿇고 머리를 숙여 패배를 인정하고 세자와 대군은 청에 볼모로 끌려갔다. 다스리는 자가 당장은 곁에 없으니 이제 임금은 나라만 잘 다스리면 되겠지... 라고. 잘 만들어진 역사소설을 읽을 때마다 내가 그동안 얼마나 역사에 무지했었는지 새삼스러워지고 부끄러워진다. 조금 더 알았다면 조금 더 깊이 받아들이고 조금 더 잘 이해할 수 있었을텐데. 

병자호란 당시 청으로 끌려갔던 세자, 그가 바로 "소현"이다. 소설 <<소현>>은 병자호란에서 청나라에 패하고 볼모로 끌려간 소현세자가 10여년을 지내고 그 암울한 격벽의 정세 속에서 죽기까지, 2년여 동안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다음 임금이 될 사람, 그러므로 그토록 중요한 자리이면서도 무엇 하나 함부로 말을 입에 담을 수도 없었던 위치가 세자이다. 적의 나라에서 온갖 굴욕을 당하며 적이 소멸하는 것을 보는 대신 점점 강한 나라가 되는 것을 볼 수밖에 없었던 소현세자의 고독이 진하게 느껴진다. 

처음 떠나보낼 때, 임금은 자신을 대신할 아들이 가엾어 울었다. 하지만 10여년의 세월동안, 그 세월이 아들을 아들이 아닌 적으로 생각하게 만들었다. 다만 백성들을 위해 살고자 했던 세자였으나 세상이, 정세가, 정치가 그렇게 두지를 않았다. 뜻이 있되... 그저 기다리고 기다릴 수밖에 없었던 소현이 안타까울 뿐이다. 

"나는 조선의 세자, 임금의 아들이다. 내가 아는 것 중에 가장 밝히 아는 것이 그것이 아니겠느냐. 내가 내 뼈를 갈고, 적의 똥을 핥는 한이 있더라도, 저들이 보여준 모든 것을 아무것도 잊지 않으리라. 상께는 차마 올리지 못할 말이나 내가 상이 당하신 치욕을 이제 내 살을 깎는 아픔으로 안다. 통한이 무엇을 일컫는 글자였는지도 이제 알겠구나. 적들이 모든 것의 위에 선 이때에 내가 비로소 그것을 안다. 허나, 잊지 않을 것 중의 가장 큰 것이 어찌 굴욕이겠느냐. 내가 저들이 어떻게 이겨 어떻게 여기에까지 이르렀는지를 잊지 않으리라. 잊지 않음이 굴욕을 삼키는 길이 되더라도, 그리하리라."...327p

<<소현>>의 글이 아름답다 생각했다. 마치 시어를 읽는 것처럼 행과 행 사이의 뜻을 헤아려 읽었다. 그랬기에 소현세자와 석경의 마음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었을 것이다. 아비의 아들로 태어났으나 결국엔 버림받은 이들. 그들이 그 시대를 어떻게 살아냈는지를 소설 <<소현>>이 말하고 있다. 1등만 기억하는 세상 속에서 임금이 되지 못한 자의 이야기를 읽으니 그를 위해 울어주지 않은 아비 대신, 울음이 가득할 그를 위해 내가 울어주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