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그문트 프로이트>를 리뷰해주세요.
지그문트 프로이트
캐슬린 크럴 지음, 김수희 옮김, 보리스 쿨리코프 그림 / 오유아이 / 2009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무의식"이나 "자아" 등의 개념들은 이제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한 단어들이다. 실제로 일상생활 중 다른 사람과 대화를 나누면서도 드물지 않은 빈도로 사용될 정도이니 말이다. 그만큼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정신분석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을 만들고 뇌에 대한 그동안의 터무니없는 생각을 완전히 뒤집어 새로운 틀을 세운 과학자이자 의사이다. 사실 프로이트가 세운 여러 가설과 연구, 이론들이 지금까지 고스란히 이어지고 있지는 않다고 한다. 하지만 프로이트는 정신분석학에 있어 새로운 지평을 열었고 다르게 생각할 수 있다는 여지를 준 점에서 선구자이다. 그리고 그의 여러 이론들 중 왜 어떤 것들은 지금까지 이어지고, 어떤 것들은 사장되었는지를 이해하는 데 있어 그의 삶을 되돌아보는 것은 무척이나 타당하다. 

우선 어머니에겐 '금쪽같은 내 아들 지기'라고 불리며 전폭적인 지지와 사랑을 받았고 가난한 생활 중에서도 가족들의 모든 생활이 프로이트를 중심으로 돌아갔다는 점에서 프로이트가 어린 시절부터 자신에게 얼마나 큰 자부심과 자긍심을 갖고 자랐는지를 알 수 있다. 하지만 이 영향은 그의 단점으로도 나타나는데, 바로 자신이 생각하는 것이 무조건 옳다고 믿고 자신과 반대되는 이론에는 전혀 마음을 열지 않았다는 데 있다. 이것은 과학자로서 매우 치명적인 그의 성격이었다. 

또, 그는 순수한 과학자적 연구에 대한 열정보다는 그 열정을 기반으로 한, 보다 더 높은 곳을 향한 "명예욕"과 "부"를 쫒았다는 것이다. 이는 나쁘게만 볼 수도 없다. 어쨌든 그는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았고 계속해서 '진화'했다. 처음 대학에 들어가서는 자연과학 분야를, 곧이어 의학으로, 그 의학을 폭넚게 공부하기 위해 생리학, 물리학, 식물학, 화학, 생물학과 세균학까지...  그의 관심은 참으로 넓었던 것 같다. 다양한 과에서 경험을 쌓은 뒤 프로이트는 신경학을 통해 '뇌'를 접하게 된다. 

사실 지금까지 프로이트가 어느 시대를 살았던 사람인지... 전혀 모르고 있었다. 그가 살았던 시대(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는 '뇌'가 우리 몸에서 그다지 중요한 기관이 되지 못했던 시대였고, 여러 정신병에 시달리는 사람들을 모두 합해 '히스테리 증상'으로 불렀으며 그들을 치료하려고 하기보다는 일반인들과 분리시키려 했을 뿐이었다. 그런 때에 프로이트는 샤르트를 통해 최면을 사용하여 환자들을 고치려는 시도를 했고, 브로이어와 여러 환자들을 통해 그만의 "대화 요법"을 정립하게 된다. 

프로이트는 자신이 갖춘 폭 넓은 지식을 바탕으로 관찰자로서의 뛰어난 재능을 보이며 자신만의 이론을 만들어 나간다. 그의 지식은 그가 전혀 새로운 가설을 세울 수 있게 도와준 반면, 너무나 외곬수적인 태도로 일관하여 지지자들의 지지를 잃기도 하고 매우 19세기적인 여성관을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그의 이중성으로 인해 후세에도 그의 평가가 엇갈리는 것일 것이다. 

"오늘날 우리는 겉으로 드러난 행동 뒤에 감춰진 의미가 있으며, 때로 우리가 하는 일에 숨겨진 동기들이 있다는 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인다. 또한 신체적으로 나타나는 병의 증상들에 심리적인 원인이 있을 수 있고, 어린 시절의 경험이 이후의 우리 삶을 형성하며, 꿈들이 의미가 있을 수 있고 심리 요법이 도움이 될 수 있고, 성이 공개적으로 논의 될 수 있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한다.
사실 이 모든 것이 지그문트 프로이트 덕분에 가능해졌다."...150p

우리가 "위인"이라고 부르는 사람들은 확실히 우리의 역사에 큰 획을 그은 사람들이다. 하지만 그들이라고 약점이 없었을까. <과학의 거인들> 시리즈 중 한 권인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사실 그대로, 지그문트 프로이트를 서술했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주고 싶다. 그의 삶 뿐만아니라 정신분석학의 일반적 개념과 계보, 그 당시 사회 분위기까지 알 수 있는 아주 광범위한 위인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