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당분교 올림픽>을 리뷰해주세요
몽당분교 올림픽 맛있는 책읽기 4
김형진 지음 / 책먹는아이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시사 프로그램에서는 몇 해 전부터, 다문화 가정과 우리 나라에서 오랫동안 일한 외국인 노동자에 관한 문제를 언급해 왔다. 일을 배우러 우리나라에 들어왔다가 눌러앉거나 체류 기간이 지났음에도 돈을 벌기 위해... 살기 위해 계속해서 우리나라에서 아이들을 낳고 살아왔던 외국인들. 그리고 다른 더 가난한 나라에서 가족의 생계를 위해 우리나라로 팔려 온 아가씨들.... 그 아가씨들과 결혼한 농촌 노총각들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들로 이루어진 다문화 가정. 이들의 수가 점점 많아지면서 이들로 인해 야기되는 새로운 사회 문제와 이들을 외국인으로 볼 것인지, 아닌지가 사회적 이슈가 되곤 했다. 그리고 바로 이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몽당분교 올림픽>>은 바로 이러한 현재 우리의 이야기를 잘 풀어낸 동화책이다. 저~ 깊은 강원도 산골에 전교생이 단 7명뿐인 '몽당분교'에는 한국 어린이, 북한 어린이, 필리핀 어린이, 태국 어린이, 나이지리아 어린이 그리고 우즈베키스탄 어린이 등 정말 다양한 국적을 가진 어린이들이 다니고 있다. 그리고 이 마을에는 베트남 아가씨와 결혼한 청년회장과 박철규 아저씨를 비롯하여 베트남 전쟁에서 돌아온 김 상사, 벌써 몇 년째 절에서 사시 공부를 하고 있으나 낙방만 하고 있는 최 박사까지 ... 정말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한다. 

전교생이 7명밖에 되지 않는 조그만 마을인데도 다양한 인종의 사람들이 살아가고 있는 것만큼 참으로 다양한 대립관계가 존재한다. 이 대립 관계는 전부 "배척"에서 비롯된다. 몽당 분교에서는 전교생 아이들의 국적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운동회를 올림픽으로 부른다. 하지만 이 올림픽은 엉망이 되어버리고 만다.

"몽당리 올림픽... 누가 이기고 지든 상관없이 정정당당하게 최선ㅇ르 다해 지구촌 모두가 인종 차별 없이 하나가 된다는 올림픽 정신과는 거리가 먼 올림픽이었습니다."...33p

얼굴색이 검던... 하얗던... 한국말을 잘 하던... 잘 하지 못하던... 이미 한 마을에서, 한 나라에서 여행이 아닌 삶을 살고 있다면 우린 모두 하나다. <<몽당분교 올림픽>>은 서로가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고 미워하고 단절되었던 이 마을 사람들과 아이들이 서로를 이해하고 한마음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잘 담고 있다. 

"철수는 아프리카 속담이 한국 상황에 맞아떨어지는 것이 이젠 신기하지 않았습니다. 영애가 살고 있는 아프리카나 한국이나 다 똑같이 사람 사는 동네이기 때문이지요."...201p

이웃 사촌이란 말이 있지 않은가! 먼 친척보다 가까이 사는 이웃이 더 가깝다는 말... 이 말이 현재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도 해당되는 말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우리 민족의 뿌리를 알고 자랑스러워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만큼이나 지금 우리 곁에서 함께 하고 있는, 우리와는 조금 다른 이웃들을 알고 이해하는 것도 중요하리라고 생각한다. 이제는 우리와 함께 할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아이들에게 우리 사회를 이해시키고 사람답게 사는 법을 알려주는 책이다. 일본에서는 한 소녀를 위해 없어진 학교를 되살리는 마당에 우리나라에선 안그래도 자꾸 사라지는 농촌 아이들을 더욱 힘들게 하는 "폐교"문제까지... 다양한 문제들을 생각하며 읽을 수 있다. 감동과 생각할 문제를 던져주는 훌륭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