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데렐라 - 유리구두가 아니라도 괜찮아! ㅣ 세계명작 3단뛰기 2
이야기꽃 지음, 이영림 그림 / 타임주니어 / 2010년 10월
평점 :
품절
아이를 키우는 엄마(부모?)라면 으레 정해진 절차라도 되는양 창작(그림책)을 전집으로 떡~하니 구입하고 우리의 옛이야기가 담긴 전래, 사물과 자연에 대한 호기심을 유발 혹은 충족해줄 자연관찰을 당연한듯 아이에게 보여준다.
그 다음으로는 아마도 세계명작쯤이 아닐까 싶은데.... 우리의 전래와 비슷한듯 세계 여러나라에서 오래전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옛이야기가운데 세계적인 공감대(?)를 얻은 것들이 세계명작으로 명맥을 이어오지 않나 싶다.
신기하게도 우리의 옛이야기나 세계명작 가운데 비슷한 주제는 물론 내용상 유사한 작품이 발견되기도 한다. 그 가운데 '신데렐라'는 우리의 '콩쥐팥쥐'와 어쩜 그리도 비슷하게 다가오는지...... 물론, 계모가 데리고온 새 언니의 숫자가 다르기는 하지만 말이다.
신데렐라가 유리구두로 인해 왕자님과 결혼을 하게 되었다면, 콩쥐는 꽃신으로 원님의 아들과 혼례를 올리고 행복한 끝을 맺고 있지 않은가??
그렇다면, 우리의 아이들에게 신데렐라나 콩쥐팥쥐를 당연한듯 권하는 이유가 무엇이란 말인가? 계모나 새 언니들은 당연히 심술궂고 고약하다거나 구박을 참고 살다보면 어느날 행운처럼 왕자나 원님의 아들과 결혼하는 행운을 누리게 된다고 알려주고픈 것일까??
아마도 절대로 그렇지 않을 것이다. 다만, 막연하게 우리(부모들)도 어릴 때부터 통과의례처럼 듣고 자랐기 때문은 아닐까?? 그러면서 어느 순간 자신이 신데렐라가 되기를 바라기도 하면서 성장기를 보내기도 한다. 어쩌면 신데렐라뿐만 아니라 백설공주가 그렇고 잠자는 숲속의 미녀나 미녀와 야수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그렇다면 과연 그런 명작들이 요즘의 아이들에게는 어떤 감흥을 주기라도 하는 것일까?? 짐작컨대, 부모들의 어린시절처럼 신기한 옛이야기라도 되는 듯 재미를 느끼지는 않을지도 모르겠다. 예전에는 TV나 컴퓨터, 게임기도 낯선 물건이 아니었던가??
요즘처럼 아이들의 관심과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것들이 넘치는 시대이고보니 신데렐라는 고리타분하기만한 책 속의 이야기에 불과할지도 모르겠다.
그래서일까....'유리구두가 아니라도 괜찮다'는 새로운 버전의 신데렐라가 반갑기만하다. 흘려버린 유리구두가 가져다준 행운에 전적으로 의지하기보다는 자신의 재능(옷을 만드는)을 마음껏 펼치는 우리시대의 신데렐라가 조금도 낯설지 않다.
고맙게도 원작이라할 수 있는 17세기의 샤를 페로가 지은 신데렐라와 함께 유리구두가 아니어도 충분히 행복할 수 있는 21세기형 신데렐라가 나란히 담겨있어, 창의력과 자신만의 재능이 성공의 바탕으로 강조되는 요즘 아이들에게 새로운 여운을 주리라 기대되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