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책들 '노름꾼'(이재필 옮김)이 아래 글의 출처이다.

사진: UnsplashWesley Tingey






[그런데 무언가 색다른 느낌이 들었다. 홀로 타향에 와서 친척들과 친구들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이 오늘은 뭘 좀 먹을 수 있을지 없을지도 잘 모르는 판에 마지막 남은, 정말로 마지막 남은 굴덴을 걸 때 드는 그런 느낌 말이다.]

도스또예프스끼는 그런 예감을 좋아했고 그 심리적인 내용과는 상관없이 경험의 긴장을 좋아했다. 그가 타향에서 마지막 남은 굴덴을 잃었을 때 그의 목을 짓눌렀던 것은 어떤 경련이었을까? 공포의 경련, 절망의 경련 아니면 걷잡을 수 없는 쾌감의 경련? - 『노름꾼』과 두 번째 결혼, 외국에서의 생활_작품 평론(꼰스딴찐 모출스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ttps://blog.aladin.co.kr/790598133/15115646 작년 오늘의 포스트에 이어, 도스토옙스키의 '노름꾼'(이재필 역, 열린책들)으로부터.


내용 감상과 별개로 아래 발췌글 속 '러시아'에 '한국'을 대입해 보자. 그건 그렇고, 왜 부끄러움은 보는 자들의 몫인가. 추태를 부린 자들이 엄연히 따로 있는데 말이다.

Gamblers, 1852 - Pavel Fedotov - WikiArt.org






화자는 〈러시아의 추태〉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 본다. 〈러시아인들은 그 재능이 너무 많고 다양해서 자신에게 알맞은 형식을 발견하지 못하는 거예요. 여기서 문제는 바로 형식에 있습니다. 우리 러시아인들은 대부분 풍부한 재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적절한 형식을 갖추기 위해서는 천재적인 능력이 필요합니다.〉

러시아의 혼돈이 가라앉으면 과연 러시아의 질서와 조화가 창조될 수 있을까? 러시아의 〈긍정적이고 훌륭한 인간〉은 언제 나타날 것인가? 이러한 생각과 함께 도스또예프스끼는 자신의 다음 소설 『백치』의 테마로 나아간다. - 『노름꾼』과 두 번째 결혼, 외국에서의 생활‘(꼰스딴찐 모출스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회찬이 그립다. 지금 같은 때 그라면 어떤 말을 쏟아낼까. '노회찬의 말하기 - 희망으로 도약한 낮고 강한 말'(강상구)의 '4부 감동의 정치는 감응하는 말로부터_말하기의 예술'로부터 옮긴다.

여의도(2021) By Brit in Seoul


올해 여름에 출간된 노회찬재단이 기획한 '나는 얼마짜리입니까'도 담아둔다.





박근혜 정부가 국정교과서를 한창 추진할 때는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엎질러진 물이 되는 게 아니라 엎질러진 휘발유가 되는 거죠." *

*〈김현정의 뉴스쇼〉, CBS 표준FM, 2015.11.2.

- 4. 오리고 접붙이고 블록 조립하듯_조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남자아이가 올 줄 알았던 마릴라에게 앤은 불청객이 되었다.

By M. A. and W. A. J. Claus - Montgomery, Lucy Maud (1908) Anne of Green Gables





앤은 훌쩍거리면서 꼭 끼는 잠옷으로 갈아입고는 얼른 침대 속으로 들어가 베개에 얼굴을 파묻고 이불을 머리끝까지 뒤집어썼다.

마릴라는 천천히 앤의 옷들을 주워 노란색 의자 위에 단정하게 올려놓고, 촛불을 들고 침대가로 다가가 말했다.

"잘 자거라." 조금 어색하기는 했지만 그렇다고 무뚝뚝하지도 않은 목소리였다. - 3. 마릴라 커스버트도 놀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ttps://blog.aladin.co.kr/790598133/15112803 작년 오늘에 이어, 데보라 넬슨의 '터프 이너프'가 왜 시몬 베유로 시작하는가를 생각하며 시대적 배경을 살펴보기 위해 관련 부분을 발췌한다.

Too Late to Change, The Saturday Evening Post story illustration, August 19, 1950, 1950 - Robert G. Harris - WikiArt.org






현대 비평가들은 달리 생각할지 모르지만, 1950년대 전후의 미국과 유럽에서 베유가 독자층을 찾았을 때 그녀의 비극적 세계관이 방해는커녕 오히려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는 생각은 해볼 만하다. 종교적 저작의 출간은 프랑스와 미국 양쪽에서 전후의 종교 부흥으로 한껏 자극된 독자들의 입맛을 충족시켰지만, 미국의 비평가들은 베유가 어째서 인기를 얻었는지 모르겠다고 어리둥절했다. 그들은 시몬 베유처럼 수난을 기꺼이 포용하는 작가가 어째서 대중적 독자의 인기를 얻는지 그 이유를, 특히나 그 시대의 종교적 분위기를 고려할 때, 아무리 생각해도 이해할 수 없었다. 하지만 40년대 후반과 50년대 초반에 거쳐 일어난 종교 부흥의 문맥 속 에서 베유의 수용을 생각해보면, 베유와 그녀의 비극적 세계관이 어째서 한편으로 위협적이면서 또 한편으로 미혹시키는 면모를 지녔는지 개략적으로 파악해볼 수 있다. 일부 역사가에 의하면 전후의 미국 문화는 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과 유사한 데가 있었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dbTlla 2024-12-05 18:0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터프 이너프‘와 시몬 베유를 연결하신 관점이 무척 흥미롭습니다. 방금 저도 베유에 관한 글을 쓰고 있었는데, 이 글을 통해 베유의 비극적 세계관이 또 다른 시각에서 조명되는 것을 보니 많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서곡 2024-12-05 18:26   좋아요 2 | URL
안녕하세요 위의 글은 제가 쓴 게 아니라 데보라 넬슨의 ‘터프 이너프‘로부터 가져왔습니다 오해하신 듯하여 본문에 발췌임을 분명히 했습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dbTlla 2024-12-05 18:39   좋아요 1 | URL
가져오신 글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제 댓글이 애매하게 읽혔을 수도 있겠네요. 양해 부탁드립니다. 하지만 덕분에 터프 이너프를 다시 펼쳐볼 생각이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