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기에 화가 페르낭 크노프 Fernand Khnopff의 소녀 그림들이다(출처: 위키아트 https://www.wikiart.org/en/fernand-khnopff). '혼자 있기 좋은 방'(우지현 지음)의 내용으로부터 일부 가져온다.



Portrait of Jeanne Kefer 1885


Portrait of gabrielle braun 1886


Portrait of Yvonne Seys 1890


* 이 책 '혼자 있기 좋은 방'을 쓴 우지현은 저자 소개를 보니 화가로서 여러 책의 표지화를 그렸는데 그 중 도리스 레싱 소설집 '19호실로 가다'(문예출판사)가 있다.



그림 속 모델은 크노프의 친구이자 피아니스트인 귀스타브 케퍼의 딸 잔 케퍼로, 그녀의 다섯 살 때 모습이다. 원래 이 초상화는 벨기에 브뤼셀의 미술단체인 레뱅이 1885년 개최한 전람회에서 처음 선보일 예정이었으나 그림을 완전히 끝마치지 못해 다음 해 열린 다른 전시회에서 소개되었다. 그림이 세상에 공개되자마자 동료 화가들과 평단은 이 그림에 크게 주목하며 긍정적인 평가를 했다. 이후 벨기에의 미술사학자 미셸 드라겟이 저서 『페르낭 크노프 : 잔 케퍼의 초상화』를 발표하면서 이 그림은 더욱 유명해졌는데, 이 책에서 드라겟은 그 시대의 문학과 예술의 움직임 그리고 사회적 환경과 함께 그림을 분석하며 상징주의 예술에 대한 좀 더 넓은 틀을 제공했다.

다수의 작품에서 그는 ‘아이’라는 매개를 선택해 불안이라는 심리상태를 효과적으로 전달했다. 유아가 상징하는 미성숙에 초점을 맞췄고 그들의 위태롭고 무질서하며 부서지기 쉬운 성질에 집중했다. 그 시기 아이들의 순수하고 맑은 모습을 통해 불안의 근원에 다가가고자 했고, 흔들리는 눈빛을 통해 불안의 내재적 요인에 대해 말하려 했다.

그는 타고난 기질이 내향적이었고 은둔형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무려 3년 동안 아틀리에에만 틀어박혀 있을 정도로 폐쇄적인 성향의 소유자였다. 게다가 19세기 말 브뤼셀은 염세주의가 활개를 치고 비관주의가 팽배한 시기였다. 우울한 도시 분위기에서 자란 그는 여러 가지 사회문화적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그가 그림을 통해 보여주려 했던 것은 자신의 불안감이 아니었다. 불안한 상태에 놓인 아이들을 통해 그림을 보는 이들에게 불안이란 거대한 흔들림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내면의 세계로 들어가는 통로이며, 때론 성장과 발전의 중요한 요소가 된다고 증언한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