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일이 초파일이자 어버이날이었다. 한강 작가의 '아기 부처'에 관한 아래 논문으로부터 일부 여기 옮긴다.
[살아있는 것들은 모두 불성을 지니고 있다(一體衆生, 悉有佛性)는 인간의 끝없는 변화 가능성을 믿는 어머니는 과거를 뉘우치며 수행하는 선오후수(先悟後修)하는 인물이다.
어머니는 심즉불(心卽佛)을 믿고 수신(修身)하고 있고, ‘나’는 꿈에 진흙으로 아기 부처를 빚어내고 있다. 그것이 흉측한 이미지의 부처라 하더라도 마음에 부처가 이미 자리하고 있음을 의미하므로 두 인물이 불성(佛性)을 믿고 있다는 점에서도 동일하다.
현재의 어머니의 발화는 인용 부호로 처리되고 있는데 반해, 과거의 어머니의 말에는 인용 부호가 생략되어 있다. 그것은 ‘나’와 ‘어머니’의 경계를 지워버림으로써 어머니의 말은 서술자인 ‘나’에게 귀속되어 ‘나’의 말이 된다. ‘눈물로 세상을 버티려고 하지 마라’는 어머니의 말이면서 스스로를 통박(痛 駁)하며 촉구하는 자신의 말이다.
한 인물임을 말해주는 장치로써 일체동근(一體同 根)임을 의미한다. 단지 어머니의 수신(修身)에 자극이 되어 불현듯 깨달음에 이른 것이 아니다. 어머니의 수행이 곧 ‘나’의 수행이 되어 일상의 지속적인 수련의 결과로 변화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날카롭고 차가운 금속성의 이미지로 가득한 세계는 부처가 든 ‘연꽃 봉오리’를 피어나게 하려는 수행으로 생명력이 있는 식물의 세계로 변한다. 마음의 겨울을 견디는 동안 상처에 내성이 생기면서 비로소 봄을 맞게 된다. 그곳은 “어린 싹 같은 연푸른빛이 생생하게 차올라 있는” 곳이며, ‘철조망을 너머 날아가는 푸른 산까치’처럼 인식의 경계 를 넘어서게 된다.]출처: 관(觀) 수행으로 본 한강의 「아기 부처」2015 방민화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78573
사진: Unsplash의Y.H. Zh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