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주는 부모 치유하는 부모
스즈키 히데코 지음 / 생활성서사 / 200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은 읽는 책이 다양해졌다. 2-3년 전 고통 속에 빠지면서 그 동안 전공과 사회과학서적과 시사관련, 생태 관련 책만 읽던 내가 달라진 것이다.

그 중 하나가 치유, 상처, 내면, 신앙, 심리학, 대화 등의 단어가 들어간 책들이다. 내가 아팠고, 또 그 아픔이 단순히 육체적인 아픔만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이 책은 작년 그러니까 2008년 초 무렵 제주에 있는 바오로 서점에 들렸다가 그냥 집어든 책으로 기억한다. 제목이 다가왔다. 솔직히 말하지면 그 책을 사던 날 아침, 애들 엄마가 애들에게 엄청 상처를 주는 게 아닌가 하는 행동을 봤던 것이 직접적인 이유일지도 모르겠다.

 

근데, 암튼 우리 가족은 지난 2년 동안 너무도 달라졌다. 서로에 대한 이해와 애정의 폭이 훨씬 커졌다. 우선 나부터가 집안에서 가족과 함께 하는 시간이 많아진 것만으로도 물리적 변화를 볼 수 있다. 공 들인 만큼 변화가 있다.

 

어쨌거나 그 때 사두었던 책을 잡았다. 근데 내 관심이 많이 떠난 탓인지, 아니면 아직도 철이 없어서인지, 책이 팍 꽂히지는 않았다. 그냥 '다 좋은 말이네. 그럼 그럼 애들 입장에서 이해해 주어야지' 이런 생각 정도였다. 나의 책읽기 준비 부족이다.

 

고통은 사람을 성숙시킨다는 것. 의미 없는 고통은 없다는 것. 익히 들었고 내가 직접 체험해던 일이다. 물론 앞으로도 겪을 고통을 생각하면 자신감이 없어지긴 한다.

그래도 좋은 말들이다.  그 중 한 구절만 옮긴다.

 애들이 좋은 일을 했을 때는 '언제나' '누구에게나' 라는 표현을 집어 넣어서 말한다. 그러나 부정적인말을 해야 할 때에는 그와 정 반대여야 한다. '지금' 너는 기분이 좋지 않구나 라는 식으로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고 '너는 늘 이 모양'이라는 표현을 쓰면 안 된다고 한다.

쉽게 지나치기 쉬운, 일상 속에서 자주 발견되는 상황이다.

 

그 외에도 어떤 상황을 직접적으로 나무라지 말고, 그에 대한 부모의 감정을 이야기 하라고 한다. '방을 어지럽혀 놓으니까 이 엄마는 마음이 불편하다'라고. 들었던 이야기지만 다시 강화한다.

 

이런 책은 머리보다 가슴과 몸으로 읽어야 하는데, 나는 그게 잘 안 된다. 아직 멀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