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디, 나의 교육철학
마하트마 K. 간디 지음, 고병헌 옮김 / 문예출판사 / 200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래 전에 사 둔 책이다. 내가 언제부터인가 사상적 흐름을 간디 쪽으로 잡으면서 간디 관련 서적이 눈에 띠면 우선 사 두었다. 그러나 항상 책장 장식용이었다.

 

지난 주 육지 나갈 일이 있었다. 공항 대합실, 비행기 안에서 눈 심심한 것 줄이려 이 책을 잡았다. 활자가 크다. 금방 읽겠다 싶었다. 사색 없이 글만 읽어서 그런지 정말 후딱 읽었다. 사색이 없었던 이유는 삶에 자신이 없기 때문이다. 책 내용처럼 살 자신이 없다. 간디는 말한다. "돈벌이 자체를 위한 삶을 시작했다면 , 그것은 바로 경제적 파탄뿐만 아니라 도덕적 타락을 의미한다"고. 난 요즘 이렇게 살고 있다. 교사이지만 교육을 하지 못한다. 그저 돈벌이로 학교에 출근할 뿐이다. 그러니 이 책을 읽는 게 찬찬히 되지가 않는다. 좋은 내용이다 하면서 건성으로 넘긴다.

 

역자가 후기에서 이렇게 썼다. 시간과 공간이 다른 장소에서 간디의 교육사상이 과연 지금의 한국현실에 들어맞을까 하는 의문이 있다고. 그러면서도 본질은 다르지 않기에 오히려 더 참고할 부분이 있을 것이라고. 맞다.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

 

"교사는 참으로 자기 학생들에게 어머니 같은 존재라야 한다"라든가, "학생들의 내면에서 최선의 것을 이끌어내는 것, 바로 이것이 진정한 교육이다" 같은 말은 언제 들어도 수긍한다. 다만 내가 그렇게 살지 못하기에 괴로울 뿐이다.

어제도 신문에서 일제고사를 거부했다고 해서 다시 교사를 파면조치 했다는 기사를 읽었다. 무기력 뿐이다. 할 말이 없다. 이런 마당에 무슨 교육이 있을까. 사육 뿐이다.

 

이번 나들이에선 대안교육을 실천하는 후배도 만나 보았다. 생각보다 건강하고 뜻이 깊었다. 단순히 대안학교 차원의 고민을 하는 게 아니었다. 마을 공동체를 함께 고민했다. 학교가 마을과 분리되어선 안된다는 것이다. 대안학교라고 해도 그 졸업생들이 다시 도시를 꿈꾸고 현재적 가치에 매몰될 것이라면 의미가 없다고 한다. 맞는 말이다. 그래서인가 간디 역시 교사는 한 마을에 정착해서 그곳 사람들과 어우러져야 하며, 마을 사람들에게 봉사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게 진짜 교육일 것 같다.

 

암튼 나는 멀다. 이 책과. 간디와. 그러면서도 그를 좋아한다. 가까이 가지는 못하고 멀리서만 그를 좋아한다. 한계. 이 나이 먹도록 실천 없는 삶으로 허비한다. 그래도 책이라도 읽으며 성찰하고 싶다. 그의 교육론 중 기숙사 관련에서 "기도를 위한 시간도 있어야 하고 일과 휴식과 잠에 대한 규칙도 있어야 한다"는 데까지 공감하며, 언제일지 모르지만 한 번쯤은 제대로 된 '교육' 한 번 해보고 삶을 마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