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에서 길을 묻다 - 마리서사 현장문학선 1
유경희 지음 / 마리서사 / 2005년 3월
평점 :
품절


유경희, <시장에서 길을 묻다>, 마리서사. 2005





월간 <말>이 위기라고 한다. 몇 년전부터인가 <말>을 구독하지 말아야겠다고 생각했는데, 기사의 질이 그렇게 떨어졌던 게 다 내부의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인 모양이다.
하긴 그 쟁쟁했던 신준영, 오연호, 최민희 등의 이름이 빠진지가 언제이던가. 그래도 그 어려운 시절 우리사회를 지탱해주었던 공로가 있었기에 나는 질이 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구독해 왔다.
그러다가 정기구독 만료가 다가왔다. 그래서 이번에 마음 독하게 먹고 끊었다. 몇 년동안 마음 모질지 못해 끊지 못했던 것 아니던가.
그런데 그 마지막 <말>이 전해 준 책이 하나 있다. 어느 시장 아줌마의 글을 모아 놓은 것이다. 책이 괜찮다. 그러나 <말>지에서 그렇게나 많은 지면을 할애하며 소개할 책은 아니다 싶었다.
그래도 내 손에 마지막으로 잡혔던 <말>이 전해준 책이기에 성의껏 읽었다. 우선 재미있다. 삼천포 중앙시장에서 살아가는 우리네 서민들의 모습이 숨김 없이, 어쩌면 가슴 아리게 다가왔다. 특히 경제 상황 악화 이후인지라 그 절절함이 더했다.
그런데 그 어려움 속에서 어느 아줌마가 악착같이 글을 썼던 모양이다. 가게 문닫고 와서 자판을 두둘겼을 생각을 하니 정말 대견하다는 생각을 했다. 그것도 매일 아닌가. 글 쓰는 것을 업으로 삼고 사는 사람이 아님에도 그런 성실성을 보였다는 게 정말 대단한 사람이라 생각했다. 무엇이 그를 글쓰기로 몰았을까? 나는? 글쓰기를 업으로 삼겠다고 했던 나는?

글 내용은 단순했다. 그렇다고 해서 가치가 없다는 말은 아니다. 단순한 게 오히려 진리다. 그 단순함 속에 우리네 삶이 있다. 괜히 지식인의 어줍잖은 기교로 복잡하게 만들 게 아니다. 그래서 더 좋다.

그러나 이 책에서 어떤 내용을 얻을 건 아니다. 살아가는 사람들에 대한 연민, 뭐 그런 것도 있겠지만, 내가 챙겨려던 건, 글쓰기 스타일이다. 생활글을 쓸 땐 어떤 방식으로 쓰는 게 좋을까, 뭐 그런 것에 대한 참고로 본 것이다.

그의 글은 주로 처음에 일상의 대화로부터 시작한다. 대화에서 파생되는 사건들이 그 다음을 이룬다. 이게 줄거리다. 그리고 마지막 마무리는 상황의 반전을 가져오는 또 한마디. 그걸로 깔끔하게 마무리한다. 그래서 때론 강렬하기도 하고, 여운을 남기기도 한다. 짧은 글이로되, 단단해 보이는 건 그 때문이다.
시장에 나온 할머니와 대화 하다가 마지막엔
"허이구- 죽을 때가 됐으면 방안에서 넙죽 기다리지 모하러 나왔노?"
촌철살인까지는 아니더라도, 그 짧은 한마디에 설움과, 비애와 유머와 기지가 다 담겨 있다. 글은 이런 식으로 끝맺고 있었다.
아니면 "씨꺼!, 노무현이 우리 오빠다. 건들지 마라!"
이런 식이다. 한 방으로 대화를 끝내버리면서 여운을 남긴다. 그게 이 사람 글의 스타일이자 장점이다.
괜찮은 방법이겠다. 칼럼 쓸 때도 쉽게 써먹을 수 있는 스타일이다. 물론 이런 방식의 글은 여러 사람들이 즐겨 썼다. 그래도 그의 글이 힘을 갖는 건 단순히 스타일 때문이 아니라 시장 사람들의 진솔한 삶, 그게 담겨 있어서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