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살인을 부르는 수학 공식 - 소설로 읽는 20세기 수학 이야기 ㅣ 에듀 픽션 시리즈 7
테프크로스 미카엘리데스 지음, 전행선 옮김 / 살림 / 2010년 8월
평점 :
학창시절 제일 좋아했더 과목이 수학이였다.
논지의 여지없이 정확하게 딱 떨어지는 답이 있다는 것이 매력적으로 다가왔다.
컴퓨터에도 관심이 많고, 수학도 너무 좋아서 아무런 고민 없이 이과를 선택하기도 했다.
수학을 좋아하고, 추리소설을 좋아하는 내게 이 책은 제목부터가 너무 흥미로운 것이였다.
살인을 부르는 수학공식.
내가 알고 있는 수학공식중에 과연 살인을 부르는 것이 있는지
도대체 어떤 수학공식이 살인과 연결되어 있는지 너무 궁금했다.
수학교사인 스테파노스의 시체가 발견되면서 이야기는 과거로 간다.
1900년의 파리에서 열린 국제 수학자 대회.
그곳에서 만난 스테파노스와 미카엘은 수학에 대한 열정으로 평생지기가 되는 우정을 쌓게 된다.
그러다 스테파노스가 시체로 발견되고, 미카엘이 유력한 용의자로 지목되는 사건이 발생한다.
수학자로서 수학이라는 학문을 위해 평생지기의 신의를 져버릴 수 밖에 없었던 미카엘.
가늠할 수도 없는 대단한 열정일지라도 결국 잘못된 선택을 하게 된다.
나도 수학을 좋아하고, 만약 선생님이 된다면 꼭 수학선생님이 되고 싶다고 생각했을 정도지만
내가 미카엘이라면 어떤 선택을 했을까?
아무리 생각해봐도 미카엘처럼 모든 걸 던질 자신은 없다.
풀리지 않는 어려운 문제를 몇십분 동안 붙잡고 있었던 기억,
친구와 머리를 싸매고 함께 풀어 냈던 기억들이 있기에
수학에 대해서 증명하고 논리적으로 입증하는 재미를 안다.
그래서 이 책을 읽으면서 그런 희열과 열정은 공감이 갔다.
팩션소설이고 살인이 동기과 결과가 되는 이야기이긴 하지만 크게 긴장감이 느껴지지는 않았다.
수학용어가 자주 등장하는 편이라 아마 수학에 대해 관심이 있으면 더 재밌게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생각하고 기대했던 이야기와는 조금은 달랐지만
좋아하는 수학이라는 과목과 접목된 소설이라는 점이 신선한 느낌이기도 했다.